
7종, 안전성·표시적합성 기준 적합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할 것”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시중에 유통되는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가 제품별로 세척 성능과 경제성, 환경성 등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소비자원이 분무형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 7개 제품을 대상으로 품질, 안전성, 환경성, 경제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모두 유해물질 등 안전성과 표시 적합성 기준에 적합했다. 또한 ‘무첨가’ 물질과 살균·향균 효과 등이 표시된 제품에도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세척 성능과 경제성, 환경성(용기 재활용 등급, 재상 플라스틱 사용 등)에서는 제품 간 차이가 있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가정 내 식사하는 횟수가 늘면서 가스레인지, 후드, 타일 등에 오염된 음식물과 기름때 등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원이 시험한 7개 제품은 랩신 홈백신 주방용 세정제(애경산업), 무균무때 주방용(피죤), 베이킹소다세정제(디에이치산업), 브레프 파워 주방용(헨켈홈케어코리아), 슈가버블 기름때세정제(슈가버블), 유한락스 주방청소용(유한양행), 홈스타 주방용 세정제(LG생활건강) 등이다.
먼저 주방의 가스레인지, 후드, 타일 등에 오염된 음식물과 기름때 등을 제거하는 세척 성능과 관련해서는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복합오염’에 대해서 1개 제품(브레프파워 주방용)이 상대적으로 우수했으며 조리 시 발생되는 ‘기름오염’에 대해서는 2개 제품(무균무때 주방용, 슈가버블 기름때세정제)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경제성에서는 제품 100㎖당 가격은 333원에서 1180원으로 최대 3.5배 차이가 있었다.
용기 재활용 등급과 관련해서는 4개 제품의 용기 재활용 등급이 우수했으며 1개 제품이 재생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등 자원 순환 측면에서의 환경성은 제품 간 차이가 있었다.
소비자원은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 사용 중 안구가 손상도니 소비자 위해사례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일부 글루텐프리 제품서 ‘글루텐’ 175배 초과 검출
- 살균제 ‘친환경·무독성’ 등 오인성 표현 사용… “개선해야”
- 소비자원, 인구 고령화 백내장 수술 느는데… “수술 가격 최대 15배 차이”
- 온라인쇼핑 ‘일상화’… 신발 구매 피해 지속 발생
- 9월 소비자 상담 중 ‘머지포인트’ 관련 7000여건 발생
- 소비자원 “전동킥보드, 제품별로 충전시간·주행거리 등 제각각”
- 해외직구 로열젤리제품 일부, 국내 품질기준 미달
- 이어폰 소비자피해 2건 중 1건 ‘품질·A/S’ 관련
- 제각각인 햄버거 세트 ‘할인율’… “메뉴판에 명시해야”
- 10명 중 8명 ‘디지털 소비’ 이용… 코로나19 이후 2배↑
- 일부 건강분말서 최대 22배 초과한 쇳가루 검출
- 10월 전기매트 관련 소비자 상담 전월比 226.8%↑
- 고령소비자 이동전화 ‘불완전판매’ 피해 3년간 437건 접수
- LG생활건강 ‘내추럴 뷰티크리에이터’ 4기 모집
- 애경산업, 사랑의열매에 28억원 상당 용품 기부
- 코로나 ‘살균·소독제’ 함량 미달… 관리·감독 강화 요청
- 블프 앞둔 해외직구 성수기 ‘피해 주의보’… “사기 의심 사이트 多”
- 소비자평가 1위 ‘일반병원’ 서비스… ‘자동차수리·포장이사’ 최하
- 욕실용 필터샤워기 35% ‘잔류염소 제거 성능’ 미흡
- 함량부터 가격까지 천차만별인 ‘냉동만두’… ‘지방·나트륨’ 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