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에서 사용 금지하는 표현 사용돼”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살균제 제품 중 상당수가 사람·동물의 건강과 환경에 부정적 영향이 없거나 적다고 오해할 수 있는 표현을 표시·광고에 사용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살균·소독 용도의 살균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8일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살균제 350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20개(34.3%) 제품이 화학제품안전법에서 사용을 금지하는 ‘무해성(77개, 22.0%)’ ‘환경·자연친화적(59개, 16.9%)’ ‘무독성(36개, 10.3%)’ 등의 문구를 사용하고 있다.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살균제의 표시·광고에는 사람·동물의 건강과 환경에 부정적 영향이 없거나 적은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 ‘무독성’ ‘무해성’ ‘환경·자연친화적(친환경)’ ‘인체·동물 친화적’ 등의 문구 또는 이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295개(84.3%) 제품은 화학제품 안전법에서 사용을 금지하는 문구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에 소비자원은 명확한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350개 제품에 사용된 표현 중 소비자가 건강·환경에 대해 오인할 수 있는 표현으로는 ▲안전한 64.0%(224개) ▲안심 40.0%(140개) ▲무·저자극 39.1%(137개) ▲천연(또는 자연) 24.6%(86개) 등이었다.
아울러 소비자원이 살균제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건강·환경에 대한 오인성 표현에 노출될 경우 해당 살균제가 유해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183.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오인성 표현을 확인하면 피부접촉·흡입방지를 위해 ‘주의하지 않는다’는 비율도 56.9% 증가했다.
소비자원은 환경부에 건강·환경 오인성 유사표현 사용금지를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과 함께 살균제 표시·광고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비자원은 소비자들에게 살균제를 무해한 것으로 오인해 일반물체용 살균제를 인체·동물·식품 소독용으로 잘못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살균제 사용 시 호흡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 소비자원, 인구 고령화 백내장 수술 느는데… “수술 가격 최대 15배 차이”
- 온라인쇼핑 ‘일상화’… 신발 구매 피해 지속 발생
- 9월 소비자 상담 중 ‘머지포인트’ 관련 7000여건 발생
- 소비자원 “전동킥보드, 제품별로 충전시간·주행거리 등 제각각”
- 해외직구 로열젤리제품 일부, 국내 품질기준 미달
- 이어폰 소비자피해 2건 중 1건 ‘품질·A/S’ 관련
- 제각각인 햄버거 세트 ‘할인율’… “메뉴판에 명시해야”
- “애플, 제품 수리 기준 불명확… 단말기 소비자 수리권 보장해야”
- “5G에 실망한 가입자 190만명, 이통 3사→알뜰폰 대이동”
- 오픈마켓 ‘해외구매대행’ 취소·환불 어려워… 정보 제공 부족
- 일부 글루텐프리 제품서 ‘글루텐’ 175배 초과 검출
- 소비자원 “주방용 세정제, 성능·경제성·환경성 차이 있어”
- 식약처, 피자집 2300곳 대상 위생점검… 식중독균 검사도 실시
- 10명 중 8명 ‘디지털 소비’ 이용… 코로나19 이후 2배↑
- 일부 건강분말서 최대 22배 초과한 쇳가루 검출
- 10월 전기매트 관련 소비자 상담 전월比 226.8%↑
- 고령소비자 이동전화 ‘불완전판매’ 피해 3년간 437건 접수
- 코로나 ‘살균·소독제’ 함량 미달… 관리·감독 강화 요청
- 블프 앞둔 해외직구 성수기 ‘피해 주의보’… “사기 의심 사이트 多”
- 소비자평가 1위 ‘일반병원’ 서비스… ‘자동차수리·포장이사’ 최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