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조혜리 기자] 백내장 수술 시 눈에 삽입하는 인공수정체 중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가격이 병원에 따라 최대 15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2015년부터 올해 6월까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안과 의료서비스 관련 소비자 상담 중 백내장 수술 관련 상담이 31.8%(1254건)를 차지했다. 피해구제 신청 135건 중 비용이 확인된 37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똑같은 다초점 인공수정체라도 소비자들에게 청구하는 금액은 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최대 8.5배(33만∼280만원) 차이가 났다.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는 최대 15.2배(33만원∼500만원)까지 벌어졌다.
여기에 검사료 등을 포함한 총 수술 비용도 병원에 따라 154만원에서 983만원으로 달랐다.
소비자원이 6월 28일부터 7월 23일까지 백내장 수술 경험이 있는 소비자 4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기 눈에 삽입한 인공수정체가 단초점인지 다초점인지 모르고 수술했다고 25.4%(104명) 답했다.
또 절반에 가까운 49.8%는 단초점 인공수정체는 보험 급여를 받을 수 있고, 다초점은 비급여라는 점을 몰랐다.
수술 후 부작용을 겪었다고 답한 소비자는 29.3%(120명)이며 빛 번짐 33.3%(40명), 시력 저하 29.2%(35명), 염증 발생 23.3%(28명) 등이 주를 이뤘다.
백내장 수술과 관련해 응답자의 58.5%(240명)는 수술 전 병원에서 치료비용과 부작용 등에 대해 설명을 해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37.3%(153명)는 고가의 비급여 항목을 과잉 처방하지 않도록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 보험설계사가 허위진단 보험금 챙겨… 보험사기 26명 무더기 제재
- 비뇨기 염증에 입원한 클린턴 전 대통령 상태 호전
- 9월 소비자 상담 중 ‘머지포인트’ 관련 7000여건 발생
- 환절기, 감기 걸렸다면 칫솔 바꿔야 하나?
- 소비자원 “전동킥보드, 제품별로 충전시간·주행거리 등 제각각”
- 해외직구 로열젤리제품 일부, 국내 품질기준 미달
- 이어폰 소비자피해 2건 중 1건 ‘품질·A/S’ 관련
- [국정감사] 공정위 “대한항공-아시아나 결합, 경쟁 제한성 있어 국토부와 논의할 것”
- [국정감사] “쿠팡서 3만 2900원 해외직구 텀블러, 반품비만 9만원”
- 동원F&B, 간편하고 맛있는 네모 참치 ‘동원참치 큐브’ 출시
- 순천향대 천안병원, 국가결핵관리 우수의료기관 선정
- 살균제 ‘친환경·무독성’ 등 오인성 표현 사용… “개선해야”
- 일부 글루텐프리 제품서 ‘글루텐’ 175배 초과 검출
- 소비자원 “주방용 세정제, 성능·경제성·환경성 차이 있어”
- 10명 중 8명 ‘디지털 소비’ 이용… 코로나19 이후 2배↑
- 일부 건강분말서 최대 22배 초과한 쇳가루 검출
- 10월 전기매트 관련 소비자 상담 전월比 226.8%↑
- 고령소비자 이동전화 ‘불완전판매’ 피해 3년간 437건 접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