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일부 건강분말 식품에 안전기준을 최대 22배나 초과한 쇳가루가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소비자원이 온라인 쇼핑몰에서 유통·판매되는 새싹보리 12개, 여주 8개, 울금·강황 8개, 비트 6개, 새싹귀리 6개 등 건강분말 식품 40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에 따르면 12개 제품(30%)에서 안전기준(10.0㎎/㎏)을 최대 22배 초과하는 금속성 이물이 검출됐다.
품목별로는 울금·강황 분말이 62.5%, 여주 분말이 37.5%, 새싹귀리 분말이 33.3%, 새싹보리 분말이 16.7% 등이다.
소비자원의 권고에 따라 해당 12개 사업자는 해당 제품을 판매 중단 및 회수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조사대상 40개 중 20개 제품은 온라인 판매 페이지에 금속성 이물 안전기준에 적합하다는 시험성적서를 게시했으나 오히려 미게시 제품보다 부적합률이 높아 신뢰하기 어려웠다.
건강분말 식품 내 금속성 물질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분쇄 전 원료를 충분히 세척하고 분쇄 이후에는 충분한 자력을 가진 자석봉을 이용해 금속성 이물을 제거하는 등 지속적인 품질관리 노력이 필요하다.
40개 제품 중 6개 제품(15%)은 표시기준에 부적합해 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품은 관련 기준에 따라 제품명, 식품 유형, 유통기한 등을 표시해야 하지만 이들 제품은 기준에 따른 표시사항을 일부 누락했다.
소비자원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사업자에게 ▲금속성 이물 기준을 초과한 제품의 자발적 회수 ▲제조공정 및 표시 개선 등을 권고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건강분말 식품에 대한 안전 및 표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 고령소비자 이동전화 ‘불완전판매’ 피해 3년간 437건 접수
- 코로나 ‘살균·소독제’ 함량 미달… 관리·감독 강화 요청
- 블프 앞둔 해외직구 성수기 ‘피해 주의보’… “사기 의심 사이트 多”
- 소비자평가 1위 ‘일반병원’ 서비스… ‘자동차수리·포장이사’ 최하
- 욕실용 필터샤워기 35% ‘잔류염소 제거 성능’ 미흡
- 함량부터 가격까지 천차만별인 ‘냉동만두’… ‘지방·나트륨’ 주의
- 공기청정기, 유해가스 제거·탈취효율 및 소음 등 성능 차이 커
- 10명 중 8명 ‘디지털 소비’ 이용… 코로나19 이후 2배↑
- 소비자원 “주방용 세정제, 성능·경제성·환경성 차이 있어”
- 일부 글루텐프리 제품서 ‘글루텐’ 175배 초과 검출
- 살균제 ‘친환경·무독성’ 등 오인성 표현 사용… “개선해야”
- 소비자원, 인구 고령화 백내장 수술 느는데… “수술 가격 최대 15배 차이”
- 온라인쇼핑 ‘일상화’… 신발 구매 피해 지속 발생
- 9월 소비자 상담 중 ‘머지포인트’ 관련 7000여건 발생
- 소비자원 “전동킥보드, 제품별로 충전시간·주행거리 등 제각각”
- 10월 전기매트 관련 소비자 상담 전월比 22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