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매출 중 해외매출 비중 48%…전년比 2%p ↑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국내 대기업 그룹이 매출의 절반을 해외에서 벌어들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국내 매출은 전년 대비 5% 줄었고 비중도 2%p 낮아졌다.
2일 CEO스코어가 출자제한 49개 기업집단 중 45개 그룹 1451개 계열사의 국내외 실적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전체 매출은 1445조 6000억 원이었고, 이 가운데 48%에 달하는 693조 6000억 원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내 매출은 752조 원으로 전년 791조 원에서 39조 원(-4.9%)이 줄었지만, 해외 매출은 678조 원에서 694조 원으로 15조 원(2.2%)이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매출은 1469조 3천억 원에서 1.6% 감소했다.
대기업 그룹이 내수 부진에 따른 실적 악화를 해외 부문에서 상쇄시킨 셈이다. 이번 조사는 국내와 해외 부문 실적 집계가 가능한 대기업 그룹 국내법인의 개별 매출을 기준으로 했다.
해외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그룹은 대우조선해양으로 15조 7000억 원 중 88.9%인 14조 원을 해외에서 거둬들였다.
한국지엠과 한진, 현대중공업도 해외매출 비중이 85.7%와 77.3%, 72.4%로 2~4위를 차지했다. 중후장대 업종 영위 그룹이 상위권에 포진한 가운데 한진은 그룹사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대한항공이 국제선 매출을 수출로 분류해 상위권에 올랐다.
삼성은 67.8%로 5위였지만, 전자·건설·물류 등 다양한 업종을 영위하는 종합그룹으로는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특히 삼성전자와 삼성SDI 등은 89%에 달하는 수출 비중으로 해외 사업을 이끌었다.
이어 영풍(64.3%), LG(60.8%), 한국타이어(60.7%), 에쓰-오일(60.2%), 효성(59.4%) 등이 해외 비중 ‘톱 10’에 올랐다. GS(54%), 두산(50.5%), 금호아시아나(50.1%) 등도 매출의 절반 이상을 해외에서 벌었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기아차 등 완성차 계열사가 60% 이상의 수출 비중을 기록한 반면 현대제철·현대하이스코 등 제철부문은 20~30%대에 머문 탓에 전체 해외 매출 비중이 47.5%로 평균치를 하회했다.
임대주택사업이 주력인 부영을 비롯해 신세계·CJ·이랜드·홈플러스 등 유통그룹은 해외 매출이 전무하거나 10% 미만으로 미미했다.
해외 매출액은 삼성이 215조 5000억 원으로 가장 컸고, 현대차 77조 3000억 원, LG 70조 9000억 원, SK 61조 2000억 원 등 4대 그룹이 상위권을 휩쓸었다. 재계 7위인 현대중공업은 롯데, 포스코를 제치고 44조 원으로 5위에 올랐다.
개별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141조 2000억 원이란 압도적 금액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는 45개 그룹 전체 해외 매출액의 20%에 달하는 규모다. 2~5위는 GS칼텍스(29조 8000억 원)→현대차(25조 5000억 원)→LG디스플레이(24조 9000억 원)→삼성디스플레이(24조 6000억 원) 순이었다.
또 SK에너지(22조 2000억 원), 현대중공업(21조 7000억 원), LG전자(20조 원), 기아차(19조 3000억 원), S-OIL(18조 9000억 원), LG화학(15조 5000억 원), 대우인터내셔널(14조 4000억 원), 삼성중공업(14조 원), 대우조선해양(13조 8000억 원), 한국지엠(13조 4000억 원), SK하이닉스(12조 8000억 원), 포스코(12조 4000억 원), 삼성물산(10조 9000억 원), 대한항공(10조 5000억 원) 등 19개사도 해외 매출 10조 원 이상을 달성했다.
해외 매출 1조 원 이상을 기록한 기업은 76개로 45개 그룹 전체 계열사의 5% 수준에 불과했지만, 금액은 657조 6000억 원으로 전체의 94.8%를 차지했다.
- 대기업 계열사 1680개… 한달새 8개↓
- 10대 재벌, 계열사간 ‘일감 몰아주기’ 크게 늘었다
- 대기업 계열사 20%가 부실위험… 동부 ‘최다’
- 대기업 사외이사 中 ‘관피아’ 37%… 전년보다 늘어
- 대기업 9개 업종, 글로벌 톱10 등극
- 대기업 11.5% 5년간 육아휴직자 ‘0명’
- 대기업, 생산성ㆍ수익성 악화에도 고용 늘렸다
- 5월 대기업 계열사 1688개… 한달새 4개 증가
- 대기업 CEO 절반 ‘SKY’대 출신… 3명 중 1명은 영남
- 정부-대기업, 3년간 358개 중소협력기업 도왔다
- 효성그룹 최대주주, 조석래→조현준 변경
- 대한항공, 中 6개 노선 주 15회 증편운항
- 올해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 30여곳 될듯
- 삼성전자, 자전거 제조사 ‘트렉’과 글로벌 제휴 맺어
- 이천 SK하이닉스 공장서 가스 누출… 작업자 2명 병원 치료
- 30그룹 80% 하반기 경영전략은 ‘위험관리ㆍ내실화’
- 두산, 올해도 ‘디 오픈 챔피언십’ 골프대회 후원
- 현대차 “친환경 하이브리드 차량 타면 타이어 증정”
- 구본무 LG 회장 “내실 있는 성장” 강조
- 삼성물산 “MB정부, 4대강 입찰 담합 조장”
- 권오준 포스코 회장 “성과 내면 파격 보상할 것”
- 대한항공, 기내 신용카드 부정사용 실시간 감시한다
- 삼성전자, 프리미엄 태블릿 ‘갤럭시 탭S’ 국내 출시
- 아시아나항공, 교보문고와 여름휴가 프로모션 진행
- 아시아나항공, 10월 사이판 노선 7일간 운항 정지
- 홈플러스 노조, 쟁의행위 돌입… 임금교섭 난항
- 세빛둥둥섬, 새 이름 ‘세빛섬’으로 9월 전면 개장
- 대한항공, 성수기 고객이벤트 실시
- 삼성SDI-BMW그룹, 전기차 배터리 기술개발 협력 강화
- 삼성물산, 인도 최대 컨벤션센터 수주… 6900억원 규모
- 10대 그룹 사내유보금 516조… 5년 새 2배 증가
- 포스코, 광양 LNG 터미널 지분 매각 검토 중
- 포스코 ‘광양 4열연공장’ 상업생산 돌입… 연산 330만톤 규모
- 포스코, LNG터미날 등 3개 자회사 매각사 선정
- 푸껫발 아시아나항공 13시간 이륙 지연
- 10대 그룹, 묵혀둔 자산 63조원에 달해
- 광복60년 제9회 북한동포해방 평화통일 구국기도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