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국내 대기업 그룹 계열사 5곳 가운데 한 곳이 부실위험에 빠진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는 자산규모 5조 원 이상의 상호출자제한 47개 기업집단 계열사들의 지난해 재무 현황을 조사한 결과, 729곳(19.7%)이 부실 위험에 처해있다고 밝혔다.
대기업 그룹 계열사 5곳 중 하나꼴로 한계기업 수준에 처해 있는 셈이다. 전년과 비교해도 15개 기업이 늘었다. 부실 위험 계열사 가운데 부채 비율이 400%를 넘는 재무구조 취약기업이 169곳, 자본잠식 상태 기업은 110곳이었다.
유동성 위험에 처한 계열사를 가장 많이 보유한 대기업은 동부그룹으로 전체 계열사의 47%가 유동성에 부실 위험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는 51개 비금융 계열사 중 무려 24개(47.1%) 기업의 자본이 잠식됐거나 부채비율이 400%를 넘었다.
2위는 GS로 78개 계열사 중 19개(24.4%)가 부실 위험 기업에 속했다.
다만 자본잠식 기업 대부분은 코스모 계열의 방계였고, 주력 계열사 중에서는 GS건설의 부채비율(263%)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어 CJ(15개), 롯데(14개), 효성(14개)이 3~5위를 차지했고, 코오롱(12개), 태영(12개), SK(11개. 14%), 한화(11개), 대성(10개)도 두 자릿수 이상의 부실 위험 기업을 거느리고 있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유영선 기자
sun@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동부 리스크’에 그림자 드리운 은행권
- 위기의 김준기, 동부그룹 운명은
- 권오준 포스코 회장 “국내 벤처 생태계 조성 앞장설 것”
- 암초에 부딪힌 동부그룹… 구조조정 ‘난기류’
- 한화그룹, 전국 사업장서 친환경 나눔 캠페인
- 삼성생명, 금융지주사 전환 속도내나
- 삼성그룹, 상반기 신입사원 최종 합격자 발표
- 아시아나, 전 임직원 헌혈로 사랑 나눔 실천
- 한화L&C, 건재사업부문 모건스탠리에 3000억원에 매각
- 회사채 만기는 다가오는데… 다급한 동부그룹
- 10대 재벌, 계열사간 ‘일감 몰아주기’ 크게 늘었다
- 대기업 계열사 1680개… 한달새 8개↓
- 대기업, 국내매출 줄고 해외매출 의존도 커졌다
- 효성그룹 최대주주, 조석래→조현준 변경
- 급한 불 끈 동부그룹, 회생 가능할까
-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 일가 상장주식 자산 1조원 넘었다
- 올해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 30여곳 될듯
- 30그룹 80% 하반기 경영전략은 ‘위험관리ㆍ내실화’
- 동부발전당진 인수전, LG상사 등 6개사 참여
- 세빛둥둥섬, 새 이름 ‘세빛섬’으로 9월 전면 개장
- 동부그룹, 급한 불 껐다… 회사채 1644억원 남아
- 10대 그룹, 묵혀둔 자산 63조원에 달해
- 대기업 46% “올해 임단협 교섭 지난해보다 어렵다”
- 현대 · 한진 · 동부그룹 , 자구안 이행 ‘ 순항 ’
- 30대 그룹 CEO, 3명 중 2명은 임기 3년도 못 채워
- 암초에 걸린 동부 구조조정… 유동성 위기 또 오나
- 김준기 회장, 동부제철 경영권 상실하나
- 대기업 계열사 1684개… 전달보다 11개 줄어
- 대기업 계열사 1675개… 한달 새 9개 줄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