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국내 대기업들이 정보통신과 철강 등 9개 업종에서 글로벌 ‘톱10’ 반열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휴대전화‧반도체‧가전 등 3개 업종에서 선두를 다투고 있고, 현대차와 현대모비스는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서 글로벌 10위권 안에 들었다.
CEO스코어는 22일 국내외 대기업들의 지난해 글로벌 매출 순위를 조사한 결과, 주요 22개 업종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IT와 자동차, 철강, 조선기계, 해운, 통신 등 9개 업종에서 10위 안에 포진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세계 시장에서 1위를 달리는 업종은 가전과 조선 두 곳뿐이다. TV와 모니터, 백색가전 등 가전 업종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각각 482억 달러와 36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며 나란히 전 세계 1, 2위를 차지했다.
조선업에서는 현대중공업이 519억 달러로 1위를 차지했고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현대미포조선이 각각 3, 4, 5위에 올랐다.
휴대전화와 반도체에서는 삼성전자가 각각 1328억 달러와 358억 달러의 매출로 애플(1710억 달러)과 인텔(527억 달러)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포스코는 철강 업종에서 592억 달러 매출로 룩셈브루크 아세로미탈(794억 달러)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유영선 기자
sun@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암초에 부딪힌 동부그룹… 구조조정 ‘난기류’
- 대기업 11.5% 5년간 육아휴직자 ‘0명’
- 朴대통령 중앙아시아 순방 경제사절단 93명 확정
- 동부그룹 구조조정 속도 낸다
- 대기업, 생산성ㆍ수익성 악화에도 고용 늘렸다
- 2013 동반성장지수 발표… 14개 기업 ‘최우수’
- 전국 3000여개 주유소 12일 일제히 문 닫는다
- 5월 대기업 계열사 1688개… 한달새 4개 증가
- 대기업 CEO 절반 ‘SKY’대 출신… 3명 중 1명은 영남
- 정부-대기업, 3년간 358개 중소협력기업 도왔다
- ‘오너 빈자리’ 채우는 비상경영시스템 주목
- 삼성전자 QHD 스마트폰 ‘불완전한 화질’ 논란
- 삼성전자, 대학생 선호 기업 2위로 밀려나… 1위는?
- 권오준 포스코 회장 “국내 벤처 생태계 조성 앞장설 것”
- 10대 재벌, 계열사간 ‘일감 몰아주기’ 크게 늘었다
- 삼성전자 “지난해 215조원 경제적 가치 배분”
- 대기업 계열사 1680개… 한달새 8개↓
- 구본무 LG그룹 회장 “강한 대학 가진 나라가 세계 리드”
- 대기업, 국내매출 줄고 해외매출 의존도 커졌다
- 올해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 30여곳 될듯
- 삼성전자, 자전거 제조사 ‘트렉’과 글로벌 제휴 맺어
- 30그룹 80% 하반기 경영전략은 ‘위험관리ㆍ내실화’
- 현대重, 2조원 규모 UAE 해양 유전프로젝트 단독 수주
- 포스코 ‘광양 4열연공장’ 상업생산 돌입… 연산 330만톤 규모
- 포스코, LNG터미날 등 3개 자회사 매각사 선정
- 10대 그룹, 묵혀둔 자산 63조원에 달해
- 대기업 46% “올해 임단협 교섭 지난해보다 어렵다”
- 30대 그룹 CEO, 3명 중 2명은 임기 3년도 못 채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