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5%↑… 朴정부 고용 확대 요청에 화답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대기업들이 지난해 생산성과 수익성 악화 속에서도 고용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상호출자제한 47개 기업집단 1554개 계열사의 고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작년 국내 상주 직원은 142만 8550명으로 전년 136만 6201명보다 4.6% 늘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대기업의 고용 증가는 박근혜 정부 첫 해 고용 확대 요청에 화답한 것으로 해석된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7개 그룹의 영업이익은 전년(80조 6000억 원)대비 5.6% 감소한 76조 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52조 6000억 원으로 전년(67조 5000억 원)대비 22.1% 급감했다. 매출은 1455조 2000억 원으로 전년(1485조 4000억 원)대비 2% 줄었다.

지난해 고용 증가는 신세계, 현대백화점, CJ 등 내수 유통그룹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개 그룹에서 전체 고용 증가 인원의 40%에 달하는 2만 4600여 명을 늘렸다.

삼성·현대차 등 상위 그룹보다 재계 13~24위권의 유통업을 영위하는 내수 중심의 중견 그룹 주도로 국내 고용이 늘어난 것이다.

신세계그룹은 지난해 직원 수를 3만 2319명에서 4만 7723명으로 47.7% 증가했다. 이마트가 1만여 명 이상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시켰기 때문이다.

2위를 차지한 현대백화점은 영업이익이 8.6% 줄었지만 직원은 1만 2822명으로 전년보다 2000여 명(17.2%) 증가했다. 현대산업개발은 직원 1200명(16.9%)을 추가로 채용했다.

또한, CJ는 계열사 수가 81개에서 71개로 10개사가 줄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12.7%, 53.9% 감소했지만 고용은 4만 6471명에서 5만 3840명으로 15.9%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5대 그룹의 고용 증가율(3.1%)은 전체 평균(4.6%)에 미치지 못했다. 롯데는 7% 가량으로 평균을 웃돌았지만 현대차(4.7%), 삼성(2.3%), SK(1.7%), LG(1.3%) 등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