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생에너지 비전 3430’ 추진
“신재생 비중 30%까지 확대”
[천지일보=최혜인 기자] 한국남동발전(사장 김회천)이 화력발전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통한 2050 탄소중립 실현에 나선다.
남동발전은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개발 계획인 ‘비전 3430 계획’을 발표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성장동력 확보와 함께 탄소중립 목표달성에 앞장선다고 10일 밝혔다.
한국남동발전은 현재 국내 최대인 1G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운영 중이다.
이번에 수립한 비전 3430은 태양광과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오는 2034년까지 총사업비 기준 33조 4000억원을 투자해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10GW 규모로 확대하고, 신재생 발전 비중도 30% 달성한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이 계획은 지난해 12월 정부에서 발표한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목표인 2034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25.8%를 상회하는 규모다. 또 국가목표인 84.4GW의 12%에 해당하는 용량으로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과 함께 약 20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낼 것으로 남동발전은 내다봤다.

남동발전은 국내 최초의 해상풍력단지인 탐라해상풍력의 성공적 운영을 기반으로 서남해 해상 12곳에 5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개발 중이다. 이 중 완도금일 해상풍력 등 1.3GW 규모의 사업은 내년 착공을 목표로 사업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말 풍력산업계 공청회를 거쳐 도입한 ‘국산화비율 반영제’의 도입과 부유식 해상풍력 국산화 추진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업을 성장시킨다. 이를 통해 ‘해상풍력 세계 5대 강국’이라는 국가목표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태양광 분야에서도 대규모 공공입찰사업의 수주를 통해 254MW 규모의 고흥호 수상태양광, 해창만 수상태양광, 새만금 육상태양광 건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50MW 규모의 주민참여형 신안태양광 발전사업도 준공을 앞둔 상태다.
연료전지 분야에서는 내년 도입 예정인 청정수소 연료전지 의무화제도(CHPS) 시행에 앞서 기존 인프라를 기반으로 부생·추출·청정수소를 활용한 고정비원가 절감 사업전략으로 초기시장 선점을 꾀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남동발전은 지난 6월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하고 사장 직속기구인 탄소중립추진위를 발족해 신속한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한 바 있다.
탄소중립은 지구 온도상승을 유발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산림 등 탄소흡수원과 청정에너지원을 늘려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 한국남동발전, ESG경영·탄소중립 위한 추진위원회 열어
- 한국남동발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기술 대외 인증
- 한국남동발전, ESG경영 강화 ‘탄소중립추진위’ 출범
- 공기업들 너도나도 ‘친환경 경영’에 ESG채권 ‘열풍’… “관리체계 마련해야”
- 남동발전, 해양생태계 온실가스 감축 앞장
- 남동발전, 해양에너지와 손잡고 중소기업 친환경 연료전환에 앞장
- 소비자가 직접 뽑는 ‘2021 대한민국 올해의 녹색상품’ 선정
- 남동발전, 인천시와 탄소중립 위한 블루카본 활용사업 착수
- 남동발전, 중소기업 동참 필리핀 발전소 수출상담회
- 한국남동발전,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 본격 참여
- 남동발전,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과 연료전지 국산화 맞손
- 남동발전, 중소기업과 가스터빈 핵심부품 국산화 실증
- 남동발전 수상태양광, 지역상생 우수사례로 주목받아
- 한국남동발전, 친환경 우수사례 모은 ‘ESG 경영백서’ 발간
- 한국남동발전, LG화학과 ‘탄소중립·RE100 달성’ 공동대응
- 남동발전 “세계 에너지수급 위기에도 연료조달 ‘이상무’”
- 한국남동발전, 온난화 주범 CO2로 건설자재 만든다… 국내 최초
- 남동발전, 여수발전소 연료전지 이용률 99%… “국내 최고”
- 남동발전, 신안태양광 발전으로 국내 최대 주민이익 공유 ‘결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