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계부채 관리책 부작용” 지적
내년 DSR 산정에 카드론 포함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지난달 카드론(장기카드대출) 금리가 전월과 비교해 상승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가 이어지는 가운데 은행에서 돈을 빌리지 못한 고신용 차주들이 카드론에 몰린 영향으로 해석된다.
이와 함께 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줄고, 내년부터 차주단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에 카드론이 포함되면서 생계형 대출 창구가 막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3일 여신금융협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7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의 카드론 대출금리는 12.09~14.73%를 기록해 평균 13.58%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 평균(13.17%)와 비교해 0.41%p 오른 규모다. 이달 초 우대금리(2%)도 폐지되며 카드론 금리는 3%p 이상 증가한 상태다.
카드론 대출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롯데카드로 전월과 비교해 0.70%p 하락한 14.73%로 집계됐다. 가장 낮은 곳은 하나카드로 전월과 비교해 0.51%p 하락한 12.09%였다.
이외에도 신한카드, 현대카드의 카드론 대출금리는 13.13%로 전월대비 각각 1.67%p 상승, 0.26%p 하락했다. 우리카드는 1.58%p 상승한 14.43%, 삼성카드는 0.8%p 오른 13.73%로 집계됐으며 KB국민카드 역시 0.31%p 상승한 13.81%로 집계됐다.
카드론 금리가 올라도 고신용자의 대출은 늘었다. 지난달 신용평가사 신용점수가 900점을 초과하는 고신용자가 신한카드에서 받은 카드론 금리는 평균 9.14%로 두 달 전보다 1.47%p 올랐다. 삼성카드에서도 두 달 만에 1.45%p 높아진 평균 10.30%가 적용됐다. 현대카드와 KB국민카드에서도 각각 0.82%p와 0.44%p 높아졌다.
통상 카드론 등 카드사 대출상품은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운 저신용자들이 급전 마련을 위한 창구로 이용해 왔다. 그러나 최근 고강도 가계부채 관리가 이어지면서 7월에 시행된 법정 최고금리 인하에도 신규 카드론의 평균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카드론 풍선효과 역시 은행들의 예대마진(수신금리와 대출금리 차이) 폭리와 함께 이번 정책의 부작용 중 하나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앞으로도 카드론 금리는 오를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행이 연내 금리인상을 한 번 더 예고한 데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억제 기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내년 1월부터 DSR 산정에 카드론 잔액이 포함되는 것도 문제다.
2금융권 차주별 DSR기준은 60%에서 50%로 낮아졌다. 이로 인해 급전이 필요한 영세자영업자·서민들이 돈 빌릴 데가 사라진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 정부 규제에 카드론 금리 오른다… 서민들 사금융 내몰리나
- 가계부채 비상에… 총대출액 2억 넘으면 소득기준 대출규제
- 대출한파 밀려온다… 홍남기 “1월부터 대출 2억원 넘으면 DSR 규제”
- 오늘 가계부채 보완책 발표… 핵심은 ‘돈 갚을 수 있는 만큼만 대출’
- 26일 가계대출 대책 발표… 한도 줄이고 원금 상환
- 내년까지 ‘대출한파’ 이어진다… 돈 갚을 능력 감안해 한도 제한
- 꽉 막혔던 대출숨통 트였지만… ‘금리 딜레마’에 은행권 고민 깊어져
- ‘고공행진’ 대출금리에 확대된 예대금리… 금감원은 이유 파악 중?
-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3.26%… 2년 11개월만에 ‘최고 수준’
- ‘김프’ 불법 외환거래 막았더니… 3분기 해외카드 사용액 15%↓
- 예정된 카드 수수료율 인하… 카드사 수익악화 속 생존 몸부림
- 현대카드·캐피탈, 인공지능으로 불완전 판매 방지
- ‘급전 창구’ 찾기도 부담된다… 카드론, 한 달 새 평균금리 1%p 급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