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정부가 26일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을 발표해 빠르게 급증하는 가계부채를 막기 위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의 단계별 이행시기를 앞당기기로 결정했다. 이번 대책은 가계대출 규제를 금융회사에서 소비자로 확대하고 대출 기준을 담보·보증력에서 상환능력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이에 따라 내년 1월부터는 총 대출액이 2억원을 초과할 경우 DSR이 적용된다. 다만 전세자금대출 등 실수요가 많은 대출은 내년 DSR 규제 강화 시에도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의 한 은행에 대출 관련 현수막이 걸려 있는 모습. ⓒ천지일보 2021.10.26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정부가 26일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을 발표해 빠르게 급증하는 가계부채를 막기 위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의 단계별 이행시기를 앞당기기로 결정했다. 이번 대책은 가계대출 규제를 금융회사에서 소비자로 확대하고 대출 기준을 담보·보증력에서 상환능력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이에 따라 내년 1월부터는 총 대출액이 2억원을 초과할 경우 DSR이 적용된다. 다만 전세자금대출 등 실수요가 많은 대출은 내년 DSR 규제 강화 시에도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의 한 은행에 대출 관련 현수막이 걸려 있는 모습. ⓒ천지일보 2021.10.26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금융당국이 천정부지로 오르는 가계대출을 조이기 위해 내년 1월부터 카드론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카드론도 은행 대출금리처럼 금리가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한도를 늘리고 싶은 고객은 자신의 소득과 상환 능력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직접 찾아 제출해야 하는 등 카드론을 받는 절차가 복잡해질 수 있다. 이 영향으로 저신용·저소득 서민들의 ‘대출절벽’에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4일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앞서 금융당국이 발표한 10.26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에 따라 내년 1월부터 카드론에 DSR이 적용된다. 이 경우 카드론 취급액이 20∼30%까지 줄어들고 카드채 금리도 상승한다. 이에 따라 카드사는 카드론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내년 1월 카드론에 DSR이 적용될 경우 카드사 당 취급액이 1000억원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 카드사의 주 수익원이 카드론이라는 점에서 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표준등급 기준에 따른 카드사의 카드론 평균 금리는 9월 말 기준 롯데카드가 15.43%, 삼성카드 12.93%, 신한카드 11.46%, 우리카드 12.85%, 하나카드 12.6%, 현대카드 13.39%, KB국민카드 13.5% 등이다.

내년부터 금리뿐만 아니라 신청 절차도 부담스러워질 전망이다. 현재 카드사는 카드 회원의 인정소득 등을 고려해 카드론 한도를 정했다.

그러나 내년부터 개인별 DSR이 적용되면 생각보다 카드론 대출이 적게 나올 수 있다. 대출을 더 받으려면 고객이 직접 자신의 소득 등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를 추가로 카드사에 제출해야 한다. 필요한 만큼 대출이 나오지 않으면 거기에 맞는 금융사를 찾아서 추가로 대출을 신청해야 한다는 것이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은행권이 가계대출 고강도 관리에 돌입한 가운데 하나은행이 오늘부터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판매를 동시에 중단한다. 주택과 상가, 오피스텔, 토지 등 부동산 담보대출은 중단되지만, 실수요자를 위한 전세자금대출과 집단잔금대출, 서민금융상품 판매는 유지한다. 비대면 대출상품인 하나원큐 신용대출, 하나원큐 아파트론 판매는 지난 19일 저녁부터 중단했다. 사진은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영업부 모습. ⓒ천지일보 2021.10.20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은행권이 가계대출 고강도 관리에 돌입한 가운데 하나은행이 오늘부터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판매를 동시에 중단한다. 주택과 상가, 오피스텔, 토지 등 부동산 담보대출은 중단되지만, 실수요자를 위한 전세자금대출과 집단잔금대출, 서민금융상품 판매는 유지한다. 비대면 대출상품인 하나원큐 신용대출, 하나원큐 아파트론 판매는 지난 19일 저녁부터 중단했다. 사진은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영업부 모습. ⓒ천지일보 2021.10.20

이처럼 내년부터 카드론 신청이 복잡해질 것으로 보임에 따라 카드사들은 금융당국에 대안신용을 활용하는 방안 등을 건의할 예정이다. 대안신용은 금융정보가 아닌 고객의 휴대전화 요금 등 소비 수준에 따라 소득을 추정해 대출에 활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일각에서는 은행 대출을 비롯해 카드론 금리가 올라가고, 이용도 현재보다 어려워질 경우 취약차주들이 제도권 금융에서 밀려나 약탈적 고금리를 부과하는 불법 사금융으로 몰릴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또 정부의 대출 규제로 1금융권과 2금융권의 금리 역전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정부가 금융 시장의 원리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달 말 새마을금고 서울 교남동 지점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는 평균 연 3.39%, 남대문·충무로 지점은 연 3.2%다. 서울시내에 위치한 단위 농협의 주담대 금리는 2.71~4% 수준이다.

반면 지난 11일 기준 국민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3.45~4.65%였다. 5년간 금리가 고정되는 혼합형 주담대는 연 3.96~5.16%로 연 5% 선을 넘었다. 변동형 금리 기준 신한(3.49~4.54%), 하나(3.54~4.84%), 우리(3.52~3.82%)도 비슷했다.

신용대출의 경우, 지난 9월 말 기준 상호금융권 평균 가계 신용대출 금리는 시중은행(연 4.15%)보다 0.31%p 낮은 연 3.84%다. 상호금융권 신용대출 금리는 2월 말 연 3.57%로 은행 금리(연 3.61%)를 처음 추월한 후 매달 격차를 벌리고 있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은행권이 가계대출 고강도 관리에 돌입한 가운데 하나은행이 오늘부터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판매를 동시에 중단한다. 주택과 상가, 오피스텔, 토지 등 부동산 담보대출은 중단되지만, 실수요자를 위한 전세자금대출과 집단잔금대출, 서민금융상품 판매는 유지한다. 비대면 대출상품인 하나원큐 신용대출, 하나원큐 아파트론 판매는 지난 19일 저녁부터 중단했다. 사진은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영업부 모습. ⓒ천지일보 2021.10.20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은행권이 가계대출 고강도 관리에 돌입한 가운데 하나은행이 오늘부터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판매를 동시에 중단한다. 주택과 상가, 오피스텔, 토지 등 부동산 담보대출은 중단되지만, 실수요자를 위한 전세자금대출과 집단잔금대출, 서민금융상품 판매는 유지한다. 비대면 대출상품인 하나원큐 신용대출, 하나원큐 아파트론 판매는 지난 19일 저녁부터 중단했다. 사진은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영업부 모습. ⓒ천지일보 2021.10.20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