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짜장·비빔라면을 2개 이상 먹을 경우 포화지방과 나트륨이 1일 기준치를 초과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짜장·비빔라면 15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품질·특성 등을 시험한 결과에 따르면 개당 평균 나트륨은 1227㎎으로 1일 영양성분 기준치(2000㎎)의 61%로 나타났다. 평균 포화지방 함량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15g)의 53%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매운맛 등의 맛 특성과 씹힘성 등 면의 특성은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일부 제품은 나트륨 함량 및 온라인 제품정보 표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오뚜기의 ‘진비빔면’의 열량(652㎉), 당류(16g), 총 지방(27g), 포화지방(11g), 나트륨(1647㎎)으로 가장 많았으며 특히 포화지방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73%(11g), 나트륨은 82%(1647g)로 높은 수준이었다.
일부 제품은 나트륨 함량이 제품 정보 표시보다 과도하게 높아 시정 요구를 받았다. 이마트 PB상품인 노브랜드 ‘짜장라면’은 나트륨 실제 함량이 1295㎎로 표시량(940㎎)의 138% 수준이었다.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부적합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소비자원에 이마트는 영양성분함량표시를 개선할 계획이라고 회신했다.
이 외에도 농심, 오뚜기, 이마트, 팔도, 삼양식품 홈플러스에서 판매되는 일부 제품은 알레르기 표시 등 정보가 온라인에 게시한 정보와 차이가 있었으며 각 제조사들은 자율적인 표시 개선 계획을 밝혔다.
보존료 함유량, 이물·대장균 등의 문제가 있는 제품은 없었다. 개당 가격은 최저 400원에서 최대 1300원으로 최대 3.3배 이상 차이가 있었다.
소비자원은 “조리할 때 물을 충분히 넣어 면을 끓인 후 물을 버리면 나트륨과 지방을 줄일 수 있다”며 “소금에 절이거나 기름에 튀긴 음식은 같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고 했다.
또한 일반 국물라면처럼 소비자가 먹는 과정에서 국물을 덜 먹거나 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조사는 나트륨과 포화지방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홈트 용품 ‘아령’서 유해물질 ‘우글우글’… 10개 중 7개 ‘판매중지’
- ‘신발’로 제테크하는 ‘Z세대’… 아이돌굿즈 거래도 활발
- KF94 마스크, 모든 성능 우수… 얼굴 ‘크기’에 맞는 제품 선택 중요
- 소비자원, 휴가철 렌터카 피해주의보 발령 … “수리비 폭탄 조심”
- 홈카페 열풍에 잘나가는 와플기계… 안전기준 5.1배 초과
- 숙박 관련 상담 급증… 4단계로 못 가는 호캉스, 위약금 없이 취소 가능
- 셀프빨래방 ‘불만’ 4년전보다 3.1배↑… 1·2위는 훼손·환불
- 홈플러스 ‘언택트 바캉스’ 기획전… 캠핑·물놀이 용품 할인
- 일부 무인 카페·스터디카페 ‘방역·위생·안전’ 취약
- 삼양식품, 창립 60주년 맞아 ‘삼양라면’ 리뉴얼 출시
- 홈플러스, 강원지역 우수 신선식품 모은 ‘강원물산전’ 개최
- 홈플러스, 폭염 달래는 보양식 할인전
- 재활용하기 어려운 캡슐커피… 10명 중 4명 ‘일반쓰레기’ 배출
- 농심, 소외계층에 화재경보기 1만개 보급… 소방청과 ‘안심 캠페인’ 추진
- 오뚜기 ‘진라면×카러플’ 콜라보 인기… 전월比 29.4%↑
- 농심, 코로나19·무더위로 신라면볶음면·배홍동비빔면 인기
- 삼양식품, 고용노동부와 ‘청년 고용 정책 홍보’ 위한 MOU 체결
- 팔도, 왕뚜껑·도시락 등 9월부터 라면가격 평균 7.8% 인상
- 홈플러스, 어린이 환경 교육 캠페인 진행… “당근과 상추 기르며 소중한 지구를 지켜요”
- 해외 온라인몰 ‘앱’ 일부 정보 누락… ‘환불 지연·거부’ 불만 가장 많아
- 일부 합성가죽 태블릿 케이스서 유해물질 최대 169배 검출
- 삼양식품, 법무법인 세종과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알로에전잎 건기식 장기 섭취 시 부작용… ‘주의문구’ 없어
- 팔도 ‘문세윤’ 왕뚜껑 모델로 발탁… 신규 CF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