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비빔라면 개수별 평균 영양성분 시험 결과 그래프. (제공: 한국소비자원)
짜장·비빔라면 개수별 평균 영양성분 시험 결과 그래프. (제공: 한국소비자원)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짜장·비빔라면을 2개 이상 먹을 경우 포화지방과 나트륨이 1일 기준치를 초과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짜장·비빔라면 15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품질·특성 등을 시험한 결과에 따르면 개당 평균 나트륨은 1227㎎으로 1일 영양성분 기준치(2000㎎)의 61%로 나타났다. 평균 포화지방 함량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15g)의 53%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매운맛 등의 맛 특성과 씹힘성 등 면의 특성은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일부 제품은 나트륨 함량 및 온라인 제품정보 표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오뚜기의 ‘진비빔면’의 열량(652㎉), 당류(16g), 총 지방(27g), 포화지방(11g), 나트륨(1647㎎)으로 가장 많았으며 특히 포화지방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73%(11g), 나트륨은 82%(1647g)로 높은 수준이었다.

일부 제품은 나트륨 함량이 제품 정보 표시보다 과도하게 높아 시정 요구를 받았다. 이마트 PB상품인 노브랜드 ‘짜장라면’은 나트륨 실제 함량이 1295㎎로 표시량(940㎎)의 138% 수준이었다.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부적합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소비자원에 이마트는 영양성분함량표시를 개선할 계획이라고 회신했다.

이 외에도 농심, 오뚜기, 이마트, 팔도, 삼양식품 홈플러스에서 판매되는 일부 제품은 알레르기 표시 등 정보가 온라인에 게시한 정보와 차이가 있었으며 각 제조사들은 자율적인 표시 개선 계획을 밝혔다.

보존료 함유량, 이물·대장균 등의 문제가 있는 제품은 없었다. 개당 가격은 최저 400원에서 최대 1300원으로 최대 3.3배 이상 차이가 있었다.

소비자원은 “조리할 때 물을 충분히 넣어 면을 끓인 후 물을 버리면 나트륨과 지방을 줄일 수 있다”며 “소금에 절이거나 기름에 튀긴 음식은 같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고 했다.

또한 일반 국물라면처럼 소비자가 먹는 과정에서 국물을 덜 먹거나 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조사는 나트륨과 포화지방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