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천지일보 DB
금융감독원 ⓒ천지일보 DB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금융감독원이 최근 가파르게 오르는 대출 금리와 관련해 시중은행 관계자들을 불러모아 회의를 열고, 대출 금리 산정체계 등을 점검한다.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대출자들의 불만이 폭증하는 반면, 은행들이 역대급 실적을 올리자 ‘시장에 개입할 수 없다’는 입장을 번복하고 진화에 나선 것이다.

금감원은 19일 수석부원장 주재로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IBK기업·SC제일·씨티은행 등 8개 주요 은행의 여신담당 부행장이 참석하는 ‘은행 가계 대출 금리 운영 현황 점검 회의’를 연다. 이는 사전 예정되지 않은 일정이었으나, 금리상승 추세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것을 고려해 긴급하게 소집된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은 이날 은행의 대출 금리 산정체계의 운영 현황을 살펴볼 예정이다. 최근 가파른 대출 금리 상승 추세에 대란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가계 대출 금리 현황과 금리 산정체계 등을 짚어보고 필요하다면 개선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금리 상승기에 금융소비자의 금리 부담이 조금이라도 줄어들 수 있도록 금리인하요구권을 활성화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전날 금융당국은 ‘대출 금리 상승 등에 대한 설명자료’를 내놓고 금리역전 현상 등에 대해 가계부채 총량 관리정책에 따른 것이 아니라고 해명하기도 했다.

금융위는 “최근 금리 상승세는 신용 팽창이 신용 위축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며 “금리 상승기의 잠재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시중 예대금리 추이 등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9월 신용 대출 신규 취급 금리가 은행권은 4.15%, 제2금융권(상호금융)이 3.84%로, 금리역전 현상에 대해 인정하는 한편, 연초부터 지속된 것으로 최근 부채 총량 관리의 결과로 보기는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3.31∼4.84%)가 신용 대출 금리(3.39∼4.76%)보다 높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도 비교 대상이 적절치 않고 현실과도 다른 측면이 있다고 주장했다.

금융위는 “대출자들이 실제로 받아간 취급 금리를 보면 여전히 주택담보대출이 신용 대출보다 크게 낮다”고 언급했다. 지난 9월 신규 취급액 기준 평균 금리는 은행의 주담대가 3.01%로 신용 대출 4.15%보다 낮다.

고신용자 금리 상승폭(0.75%p)이 저신용자 상승폭(0.61%p)보다 높다는 지적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며 “인터넷 은행에 국한된 사항”이라고 일축했다. 금융위는 “그동안 낮은 금리로 고신용자 대상 영업을 해온 인터넷 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라는 설립 취지에 맞도록 영업을 정상화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가계 대출 예대 마진이 급증한다는 우려에 대해선 올해 들어 9월까지 예대 금리 차는 2%p 내외에서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고 전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