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사진출처: 연합뉴스)

채권단, 6000억 원 추가 지원… “대주주 지분 100대 1 무상감자”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동부제철 채권단이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 등 동부제철 대주주에 대해 부실 경영책임을 물어 100대 1의 기존주식 무상감자를 추진한다. 이에 따라 김 회장이 주력 계열사인 동부제철의 경영권을 결국 잃게 될 것으로 보인다.

동부제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지난 19일 채권단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동부제철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정상화 방안에는 전체 무상감자 비율을 6대 1로 하되 소액 주주 지분은 4대 1,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동부제철 지분에 대해서는 100대 1의 차등 비율을 적용하는 내용이 담겼다.

채권단은 동부제철에 총 6000억 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530억 원의 규모의 출자 전환하는 계획도 논의했다. 지난 7월 결의한 긴급자금 1600억 원을 포함하면 7600억 원의 자금이 투입되는 것이다.

또한 2018년 12월 31일까지 채무상환이 유예되며 금리도 담보채권 연 3%, 무담보채권연 1% 등으로 낮춰주기로 했다. 채권단은 23일 이런 내용이 담긴 동부제철 정상화 방안을 동부제철 채권단협의회에 배포할 예정이다.

6월말 기준 동부제철의 최대주주는 동부그룹 비금융 지주회사 격인 동부씨엔아이(지분율 11.23%)이며, 김준기 회장(7.12%), 장남 남호 씨(7.39%) 등 특수관계인 지분의 합은 36.94%이다.

차등감자가 시행될 경우 주식 수가 크게 줄어들어 김 회장은 동부제철에 대한 경영권을 상실하게 된다. 동부그룹 관계자는 “대주주의 감자 비율이 너무 높아졌다”며 “채권단이 실사를 하면서 지나치게 가혹한 평가기준을 적용했다”고 말했다.

강덕수 전 STX그룹 회장도 STX조선해양 구조조정 과정에서 100대 1의 차등감자로 경영권을 상실한 바 있다.

다만 이번 정상화방안 안건은 의결권 보유기관이 100% 찬성했을 경우에만 시행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통상적으로는 총 채권액의 75% 이상 찬성이 있으면 정상화 방안이 채택된다.

이날 채권단 회의에는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 농협은행, 수출입은행, 신한·하나·우리·외환·기업은행 등 9개 채권 금융기관이 참석했다. 경영정상화 방안을 채택하면 회사와 경영정상화 계획 이행 약정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구조조정 실행 작업에 돌입한다.

앞서 동부제철은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인천공장 및 동부발전당진 패키지 매물의 매각이 무산되면서 지난 6월 24일 채권단 공동관리(자율협약) 돌입에 합의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