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최근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며 은행들의 ‘이자장사’ 의혹이 제기되는 가운데, 서민을 주 고객으로 두는 저축은행들이 이를 통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저축은행 예대금리차 및 예대마진 수익’ 자료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지난해 예대마진 수익은 5조310억원으로 2018년보다 20.3% 증가했다. 올해 7월까지 저축은행의 예대마진 수익은 3조 3809억원으로 지난해보다 더 증가할 전망이다.

예대마진 수익 증가세는 상위권 저축은행에서 더욱 뚜렷했다. OK저축은행의 예대마진 수익은 2018년 5979억원에서 지난해 8301억원으로 38.8% 불었고, SBI저축은행은 4898억원에서 6294억원으로 62.2% 급증했다.

올해 7월까지 OK저축은행과 SBI저축은행의 예대마진 수익은 각각 5301억원과 5262억원이다. 페퍼저축은행과 한국투자저축은행도 2018년부터 2020년 사이 예대마진 수익이 각각 67.2%와 52.0% 증가했다.

저축은행들의 예대마진 수익 증가는 예대금리차 확대 영향을 받았다. 79개 저축은행의 예대금리차 평균값은 2018년과 2019년 각각 7.9%p, 2020년 7.6%p로 나타났다. 올해 7월까지는 평균 7.2%p로 집계됐다. 3년 동안 예대금리차가 소폭 줄었지만, 같은 기간 시중은행 예대금리차 평균값인 1.9%p에 비교하면 4배 수준이다.

올해 7월까지 주요 저축은행의 예대금리차는 ▲OK저축은행 11.3%p ▲SBI저축은행 9.4%p ▲웰컴저축은행 10.3%p ▲페퍼저축은행 9.6%p ▲한국투자저축은행 6.1%p ▲애큐온저축은행 7.5%p ▲JT친애저축은행 9.5%p 등이다. 저축은행 대출자의 신용등급 구성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전체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에 해당한다.

강 의원은 “저축은행이 시중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서민을 상대로 금리 장사를 하고 있다”며 “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의 금리 운용 실태를 조사해야 하고 산정 근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엄중히 조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