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에 대한 2021년도 종합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천지일보 2021.10.21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에 대한 2021년도 종합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천지일보 2021.10.21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에서도 가계부채 관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또 FSB 중심의 금융당국 간 국제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19일 금융위에 따르면 고 위원장은 전날(18일) 오후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FSB 총회에 화상으로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FSB는 주요 20개국(G20) 합의에 따라 금융분야 규제·감독 관련 국제기준을 마련하고 금융당국 간 협력을 강화하는 국제기구다. 총회 회원은 FSB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회원국 재무부, 중앙은행, 금융감독당국의 장 등으로 구성됐다.

고 위원장은 “과거 금융위기의 이면에는 과도한 부채 누적과 자산 가격의 상승으로 금융불균형이 누적되고 있다”며 “금융안정을 위해 가계부채 관리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최근 과도한 부채와 자산 가격 상승 등으로 금융 불균형이 누적되는 것을 우려를 표하며 “금융안정을 위해 가계부채 관리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융의 상호연계성이 강화되면서 위기 발생 시 국가 간 전염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며 “FSB 중심의 금융당국 간 국제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FSB는 글로벌 금융시스템의 주요 취약점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정부·기업·가계 부채 증가를 지적했다. 금리상승과 더불어 선진국·개도국 간 경제·금융 상황의 차이가 글로벌 금융안정에 취약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코로나의 상흔효과(scarring effect)로 기업과 가계 등에서 전례 없는 수준의 부채가 발생했다며 과도한 부채 문제의 원활한 해결을 돕기 위해 관련 보고서를 발간하기로 했다.

내년도 FSB의 업무계획에는 코로나 관련 대응을 비롯해 비은행금융중개, 디지털 혁신, 기후변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개혁 프로그램 등이 우선순위로 담길 예정이다.

이번 총회의 의제는 ▲ 글로벌 금융안정성 전망 ▲ 코로나 상흔효과 ▲ 정리 개혁 이행 ▲ 2022년 업무계획 등이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