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가감시센터 조사… 곶감·달걀 상승률 높아
[천지일보=조혜리 기자] 올해 추석에 4인 기준 차례상을 마련하는 데 평균 30만원이 필요할 것이란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추석 3주 전인 지난달 30∼31일 서울 25개 자치구 88개 시장과 유통업체에서 추석 제수 용품 24개 품목의 구매 비용을 조사한 결과 평균 30만 369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추석 1차 조사 때 평균 가격(27만 4768원)보다 9.3% 증가한 것이다.
24개 품목 중 22개 품목의 가격이 지난해보다 올랐다. 상승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곶감(상주산·10개 기준)으로 지난해 1만 452원에서 올해는 1만 4590원으로 39.6% 올랐다. 이어 달걀(일반란 1판)이 5833원에서 7988원으로 36.9% 상승했다.
달걀은 추석 3주전을 기준으로 지난 5년간 가격을 비교하면 가격이 가장 낮았던 2019년 542원보다 58.4% 높다.
유통업태별로는 대형마트 판매가가 평균 6608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이어 전통시장 8177원, 일반 슈퍼마켓 8616원, 기업형 슈퍼마켓 8659원, 백화점 1만 493원 등으로 업체에 따라 최대 3800원 이상 차이가 났다.

과일류는 곶감 외에 배 가격이 27.3% 올라 평균 22.6% 상승했다.
반면 참조기(3마리 기준)는 지난해 8053원에서 올해는 5137원으로 36.2% 하락했고 청주도 1만 1618원에서 1만 772원으로 7.3% 내렸다.
유통업태별로는 전통시장을 이용할 경우 4인 기준 차례상을 마련하는 데 드는 비용이 평균 23만 4804원으로 대형마트(30만 8205원)보다 23.8% 저렴했다.
특히 돼지고기(다짐육, 뒷다리)의 경우 두 유통업체 차이가 약 5146원(-60.5%)이며 시금치(-47.3%), 깐도라지(-45.7%), 삶은 고사리(-44.1%), 쇠고기(탕국용,양지)( -37.0%) 등의 순으로 축산물과 채소·임산물이 더욱 저렴했다.
그러나 가공식품은 대형마트가 전통시장보다 평균 9.3% 더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밀가루가 19.1%, 두부가 15.6% 더 저렴했다.
물가감시센터는 “오르는 추석 물가로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달걀은 산지 가격 상승률이 다른 단계보다 높은 편으로, 산지 가격 결정구조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국민지원금·추석 영향에 ‘소·돼지고기 가격’ 상승 전망
- 추석 차례상, 전통시장 26만 7762원… 대형마트 35만 3685원
- KGC인삼공사, 추석시즌 ‘특별포장·매장픽업’ 등 혜택 강화
- 야채·과일 가격 고공행진에 추석 ‘차례상 물가’ 장바구니 비상
- 부안해경, 추석 앞두고 민생침해 범죄 특별단속
- 삼성카드, 추석맞이 선물세트 할인 등 이벤트 진행
- 정읍시, 6일부터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접수 시작
- 관세청, 추석 맞아 24일까지 수출입통관 등 특별지원
- 롯데百, 추석 코스메틱 페어 진행… 24개 화장품 브랜드 참여
- 추석연휴 과로사방지 위해 택배업계에 인력 1만여명 추가투입
- 수도권 사적모임 6명까지 확대… 식당·카페 오후 10시까지
- 천안시, 추석맞이 농특산물 ‘사전주문 판매전’… 15일까지 사전주문
- 시흥시, 위메프와 함께하는 ‘추석맞이 사회적경제 온라인 기획전’ 개최
- 농협, 추석 앞두고 축산물 품질관리 강화
- 배 10개 ‘가격’ 전년比 38.7%↑… 추석 앞두고 과일·고기·계란값 강세
- 서울 추석 차례상 비용, 전통시장 22만원… 대형마트보다 21% 저렴
- 지난달 소금값 9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 가공식품 물가 고공행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