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유영선 기자] 10대 재벌그룹이 소유한 토지가 여의도의 6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벌닷컴이 자산 순위 10대 그룹 소속 92개 상장사의 사업보고서를 토대로 업무·투자용 토지현황을 조사한 결과 10대 그룹 상장 계열사가 보유한 토지 면적은 지난해 말 기준 1억 8120만㎡으로 집계됐다. 이는 여의도 면적 290만㎡보다 62배나 큰 규모다.
특히 10대 그룹이 보유한 토지 면적은 지난 2008년 보다 7%나 증가하며 5년 새 여의도 면적의 4배 이상 늘었고, 같은 기간 토지가액도 36% 급증했다.
또 이들 토지가액(장부가 기준)은 지난 2008년 45조 6590억 원에서 지난해 말 61조 9890억 원으로 35.8%, 금액으로는 16조 3300억 원이나 급증했다.
이처럼 토지가액이 증가한 것은 보유 토지 면적이 늘어난 데다, 지난 정부 초기 상당수 대기업이 자산재평가를 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룹별로 보면 지난 5년간 토지 면적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삼성그룹이었다. 삼성그룹(16개사)의 보유 토지 면적은 2008년 3910만㎡에서 지난해 말 4450만㎡로 540만㎡ 증가했다.
지난해 삼성물산 등이 서울레이크사이드를 인수하면서 416만㎡의 토지가 새로 편입됐고,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도 몇 년 새 부동산을 대거 사들였기 때문이다.
이어 현대차그룹, 롯데그룹, LG그룹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그룹 11개사의 보유 토지 면적은 지난해 말 4140만㎡로 2008년 3880만㎡보다 260만㎡가 늘어나 두 번째로 많이 증가했다.
롯데그룹(8개사)은 토지 면적이 지난 2008년 910만㎡에서 지난해 말 110만㎡로 5년 새 100만㎡ 증가했다. LG그룹(11개사)도 보유 토지 면적이 지난해 말 1370만㎡로 5년 새 100만㎡ 늘었으며, 토지가액은 3조 5290억 원에서 4조 9980억 원으로 1조 4690억 원 증가했다.
SK그룹(16개사)과 한화그룹(6개사)의 토지 면적은 60만㎡씩 늘어나 각각 2150만㎡와 1020만㎡을 기록했고, 토지가액은 8조 7920억 원과 3조 3050억 원이었다.
이밖에 현대중공업그룹(3개사)의 토지 면적은 5년 전보다 30만㎡ 증가, 포스코(7개사)는 40만㎡가 늘어났다. 이어 한진그룹(6개사)의 토지 면적은 820만㎡, GS(그룹(8개사)은 650만㎡를 기록했다.
- 10대 재벌 토지보유액 첫 60조 돌파
- 10대 재벌, 남직원 선호… ‘남녀차별’ 여전?
- 10대 재벌 ‘일감 몰아주기’ 지난해 역대 최대
- 10대 재벌, 계열사간 ‘일감 몰아주기’ 크게 늘었다
- 10대 재벌, 강남 노른자위 보유 부동산 ‘31조원’
- “10대 재벌 사외이사 40%가 권력기관 출신”
- 10대 재벌, 영위업종 10년새 절반 가까이 늘었다
- 10대 재벌 총매출, GDP의 77% 수준
- 10대 재벌 총수중심 지배구조 더욱 강화
- 10대 재벌총수, 징역형 판결만 받고 실형은 無
- 10대 재벌 생산액, 상장사 전체 절반 넘어
- ㈜한화 화약ㆍ방산부문, 하반기 대졸신입 원서접수 시작
- 현대중공업, 김외현 단독 대표이사 체제
- ㈜한화, 성동구 주민과 ‘전통놀이 한마당’ 행사
- 한화, 인천아시안게임 개·폐회식 불꽃 쏘아올린다
- 현대차그룹 ‘강남 마지막 노른자땅’ 새주인됐다
- 한화, 내달 4일 ‘2014 서울세계불꽃축제’ 연다
- 재계 10대 가문 자산 1240조… 5년 새 53% 증가
- 포스코, 원전용 스테인리스강 국내 최초 국산화
- 김승연 회장 3남 동선 씨, 한화건설 입사
- 삼성그룹 “채용제도 개편 논의 중… 확정된 것 없어”
- 10대 재벌그룹 임원진 절반 ‘SKY+유학파’
- GS그룹,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서 사장단회의
- 10대 재벌 현금보유액 125조… 실적 부진에도 16조원 늘었다
- 롯데그룹, 부산시와 창조경제추진 실행 워크샵 진행
- LG, 창조경제박람회서 융복합 혁신제품 선보여
- 10대 그룹 비정규직 비중 6%… 2011년 이후 최저
- 한진그룹, 10대 그룹 중 부채비율 가장 나빠… 재무구조 ‘비상’
- 10대 그룹 임원, 평균 55세 이전 옷 벗는다… 재임기간 5.2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