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절반가량 소유 ‘12억 6천억원’… 롯데·신세계·현대차 順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국내 10대 재벌이 보유한 강남 노른자위 토지와 건물 평가액이 31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절반 가까이 삼성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재벌닷컴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소재 노른자위 부동산을 보유한 국내 10개 대기업그룹을 대상으로 부동산 보유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개 그룹의 토지와 건물을 합친 평가액은 6월 말 기준 30조 8630억 원으로 집계됐다.
항목별로 10개 그룹이 보유한 토지 규모는 30만 7900평(101만 6110㎡)으로 평가액이 17조 3000억 원이다. 전체 건물 평가액은 13조 5630억 원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2014년 공정거래위원회 기준 자산 순위 15대 그룹 중 토지와 건물 평가액이 2000억 원 이상인 총수가 있는 10개 재벌그룹을 대상으로 했다.
그룹별로 삼성그룹의 토지와 건물을 합친 강남 3구 소재 부동산 평가액이 12조 6080억 원으로 1위였다. 토지는 총 44건의 14만 7700평(48만 7500㎡), 8조 1160억 원 수준이다. 서초사옥과 등 20여 개 건물 평가액은 4조 4920억 원이었다.
삼성그룹은 특히 2008년 이후 삼성생명을 통해 청담동 등 강남 3구 소재 토지와 건물을 대거 사들였다. 두 번째는 강남 3구 부동산 부자는 롯데그룹으로 보유 부동산 평가액이 9조 510억 원에 달했다.
롯데그룹의 경우 호텔롯데와 롯데쇼핑 등 계열사가 보유한 송파구 소재 롯데월드(제2월드 포함) 부지와 롯데칠성음료, 롯데건설 등이 보유한 토지 평가액이 5조 1660억 원을 기록했다.
신축 중인 제2월드를 제외한 롯데월드 등의 건물 가치는 3조 8850억 원으로 평가된다. 신세계그룹의 부동산 총액은 3조 5760억 원으로, 토지는 1조 7350억 원(10여 건), 건물 가액은 1조 8410억 원 수준이다.
신세계와 신세계인터내셔날 등 계열사가 서초구 반포동에 소재한 센트럴시티와 청담동 소재 토지와 건물을 대거 매입하면서 강남 3구 부동산 부자그룹 3위에 등극했다.
나머지 4~10위까지의 부동산 평가액은 현대차그룹이 1조 6380억 원, GS그룹 1조 2930억 원, 한화그룹 8820억 원, LG그룹 7390억 원, SK그룹 4220억 원, 두산그룹 3600억 원, 동부그룹 294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 10대 재벌 보유토지, 여의도 면적 62배
- 여야, 정부 ‘세제개편안’ 두고 공방 가열
- 10대 그룹, 묵혀둔 자산 63조원에 달해
- 반복되는 재벌가 골육상잔 ... 갈등 요인은
- 재벌 2곳 중 1곳, 혈족 간 상속재산ㆍ경영권 놓고 ‘분쟁’
-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 일가 상장주식 자산 1조원 넘었다
- 10대 재벌, 계열사간 ‘일감 몰아주기’ 크게 늘었다
- 만수르 둘째 부인 이어 자녀들도 관심 폭발… ‘남다른 비주얼’
- 심경섭 (주)한화 대표이사, 인도네시아 광산현장 운영상황 점검
- 한화그룹, 충청 청소년들과 함께하는 ‘오케스트라 캠프’ 개최
- SK·포스코·현대차, 내부거래 비중 20% 상회… SK ‘최다’
- SK그룹 “내부거래 증가는 물적분할에 따른 불기피한 현상”
- 대기업 하반기 공채 27일 시작… 채용규모 작년 수준
- 롯데, 제2롯데월드 ‘도로 지하화 합의’… 조기 개장하나
- 롯데, 베트남에 초고층 복합빌딩 ‘롯데센터 하노이’ 완공
- 두산, 고효율 에너지 기술 개발에 중점
- 두산연강재단, 제23기 ‘중국학 연구원’ 5명 지원
- 한화그룹, 전 계열사 추석맞이 봉사활동 전개
- 100년 넘는 ‘장수기업’ 7개뿐… 두산 ‘118년’ 최장수
- ‘총수 공백’ 기업, 비상경영 속 위기 극복 안간힘
- 롯데그룹, 세계적 피아니스트로부터 헌정곡 선물 받아
- 암초에 걸린 동부 구조조정… 유동성 위기 또 오나
- 김준기 회장, 동부제철 경영권 상실하나
- 10대 재벌그룹 임원진 절반 ‘SKY+유학파’
- 10대 재벌 현금보유액 125조… 실적 부진에도 16조원 늘었다
- GS그룹, 29명 임원 인사… 허태수 GS홈쇼핑 사장, 부회장 승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