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고승범 금융위원장(왼쪽)과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신년 회동을 가진 이후 악수를 하고 있다. (제공: 금융위원회) ⓒ천지일보 2022.1.6
6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고승범 금융위원장(왼쪽)과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신년 회동을 가진 이후 악수를 하고 있다. (제공: 금융위원회) ⓒ천지일보 2022.1.6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과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등 금융당국 수장들이 가계부채 위험, 자영업자 부채 누증, 비은행권 리스크 등 잠재적 위험요인에 대한 선제적 대처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새해에도 긴밀한 공조체계를 지속하기로 했다.

고 위원장과 정 원장은 새해를 맞아 6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본원에서 ‘2022년 신년회동’을 갖고 최근 코로나19 확산, 글로벌 금융정책 정상화 기조, 국내·외 금융 불균형 누적 등 우리 경제·금융 현안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다.

고 위원장은 회동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금융안정 3대 과제는 가계부채, 자영업자 부채, 비은행권의 리스크 관리”라며 금감원과 상호 협력관계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금감원이 일을 잘할 수 있도록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며 “올해 양 기관이 협력하는 체계로 진행해 더욱 공고해지는 모습을 보게 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날 회동에서 고 위원장은 “금감원의 인력이 적재적소에 보강·배치돼 최근 금융의 디지털전환 등 주요 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금융취약계층 보호에 전력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해나갈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대한 관리와 금융소비자 보호 등에서 빈틈없는 금융감독을 담당해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해 말 금감원의 예산·인력 확충을 승인했고, 이를 통해 금감원은 80명의 인력을 충원하고 금융데이터실을 신설했다.

이에 정 원장은 “인력과 조직 보강을 계기로 금감원의 감독역량을 확충해 나가겠다”며 “법과 원칙에 기반해 사전적·사후적 감독의 균형을 도모하면서 사전 예방적 소비자 보호에 중점을 두고 시장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올해에도 금융정책 수립 및 집행 과정에서의 공조와 협업체계를 강화하겠다고 재확인했다. 금융 불균형 완화를 통해 금융안정을 유지하고 디지털 확산을 비롯한 금융산업 여건 변화 등을 혁신의 기회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자고 의견을 같이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