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내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를 앞두고 금융당국이 올 연말에도 가계부채에 대한 엄격한 관리 기조를 이어간다. 이에 따라 은행들이 전세대출과 잔금대출의 심사를 강화해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7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26일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에서 전세대출을 DSR 적용에서 배제하고 잔금 대출을 중단없이 지속하기로 했다.
그러나 해당 방침이 무작정 허용되면 가계부채 관리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어 시중 은행 등에 전세자금 대출과 잔금 대출 시 심사를 강화해 실수요 서민에게만 대출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달 27일부터 소매금융을 취급하는 17개 은행은 임대차(전세) 계약 갱신에 따른 전세대출 한도를 ‘임차보증금(전셋값) 증액 금액 범위 내’로 축소하고 잔금 지급일 이후 전세대출 취급을 원칙적으로 중단했다. 1주택자 비대면 전세대출 취급도 중단했다.
또 금융당국이 전세대출 분할상환 실적이 우수한 금융사에 정책모기지 배정을 우대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한도 확대 또는 금리 인하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일부 은행은 이미 신규 전세대출을 받는 고객들에게 ‘원리금의 5%를 갚아야 한다’는 분할상환 조건을 내걸기도 했다.
이처럼 실수요를 제외한 전세대출을 조이는 것은 대출 차익이 부동산·주식 등 자산 투자에 흘러드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해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김누리 기자
cho2yul@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케이뱅크, 전세대출 1000억 돌파… 2030세대 81% 차지
- 대출규제 부정여론 증가에… 금융당국, 대출금리 상승 해명 나서
- 케이뱅크도 대출 옥죄기 동참… 6일부터 ‘마통’ 가입·증액 안 된다
- 자고 나면 치솟는다… 은행 대출, 중단 없지만 연내 5% 가능성
- “대출받기도 어려운데”… 금융위, 분할상환하면 한도·금리 인센티브
- 증여세 피하려 ATM 현금 뽑아 계좌이체 ‘꼼수’도 적발… 국세청 2000억 추징
- ‘돈줄 옥죄기’로 꽁꽁 얼어붙은 서울아파트… “손님·거래 없어도 너무 없어”
- “해지율 낮으면 해지환급금도 낮게”… 금융당국, 무·저해지보험 공통 산출체계 마련
- 거래절벽 심화, ‘대세 하락’으로 이어질까… 서울 일부서 ‘급매물’ 등장
- [금융in] 월급 빼고 다 오른다… 뛰는 대출금리·물가에 한숨 나오는 가계
- 외국인, 한 달 만에 ‘팔자’… 지난달 3조 3000억 순매도
- 부동산 급매물 등장에 거래·매수세 줄어… 업계선 ‘집값 거품’ 우려
- 규제 약발에 가계대출 주춤… 기업대출 역대 최대
- 코로나19 금융조치 영향에… 9월 말 은행 연체율 ‘역대 최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