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은행권이 가계대출 고강도 관리에 돌입한 가운데 하나은행이 오늘부터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판매를 동시에 중단한다. 주택과 상가, 오피스텔, 토지 등 부동산 담보대출은 중단되지만, 실수요자를 위한 전세자금대출과 집단잔금대출, 서민금융상품 판매는 유지한다. 비대면 대출상품인 하나원큐 신용대출, 하나원큐 아파트론 판매는 지난 19일 저녁부터 중단했다. 사진은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영업부 모습. ⓒ천지일보 2021.10.20](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1/769959_787443_0253.jpg)
가계대출 총량규제 영향
우대금리 축소에 상승세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규제로 주요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되면서 전세대출도 조만간 5%대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세대출은 가계부채 규제에서 제외된 만큼 매매수요가 전세 시장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 향후 차주들의 이자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 중 우리은행을 제외한 국민·신한·하나은행의 전세대출 최고 금리가 연 4% 중반대까지 올랐다. 각각 국민은행이 연 3.36~4.36%, 신한은행 연 3.11~4.01%, 하나은행 연 3.19~4.49% 등이다.
코로나19 이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로 유지하면서 전세대출 금리는 연 2%대에 그쳤다. 올해 들어 기준금리가 한 차례 인상된 이후에도 대출금리 상단은 연 3% 중반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하반기 들어 전세대출이 가계대출 폭증의 원인으로 지목되며, 상황이 급변했다. 가계대출 조이기에 들어간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폐지하고 가산금리를 상향하면서 최근 들어 4% 중반대까지 급등했다.
금융당국이 실수요자의 고충을 감안해 가계대출 총량관리에서 전세대출을 제외한다고 했지만 이러한 기조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앞서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지난 9월부터 전세대출 금리를 각각 0.2%p, 0.15%p 올렸다. 우리은행도 같은 달 전세대출인 우리전세론 우대금리 항목을 축소한 바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자고 일어나면 금리가 뛴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금리의 빠른 인상은 은행채 등 시장금리를 반영한 것이지만, 급격한 금리인상세 자체가 매우 이례적으로 비춰지는 것으로 보인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변동금리가 아닌 혼합형(고정형) 금리의 상승 폭이 더 컸다. 지난달 29일까지 4대 시중은행의 혼합형 주담대 금리는 모두 상단이 5%를 넘어갔다. 각각 국민은행이 연 3.88~5.08%, 신한은행 3.88~5.08%, 우리은행 4.24~5.04%, 하나은행 3.946~5.246%를 기록했다.
신용대출의 경우 현재 3.35∼4.68% 금리(1등급·1년)가 적용된다. 8월 말(3.02∼4.17%)보다 하단이 0.33%p, 상단이 0.51%p 높아졌다.
- “대출받기도 어려운데”… 금융위, 분할상환하면 한도·금리 인센티브
- “대출 중단 막아라”… 금융당국 수시 모니터링·CEO 책임 강화
- 文정부 헛다리 짚는 집값 안정론, 이번엔 성공할까… 부동산시장은 갸우뚱
- 농협·하나 이어 SC제일은행도… 29일부터 주담대 전면 중단
- 서울아파트 임대차 40%가 월세 낀 계약… 대출규제 강화 탓
- 허인 KB국민은행장 “KB스타뱅킹·리브넥스트, 경쟁력 있는 종합 금융 플랫폼 거듭날 것”
- [#이벤트-금융] 우리은행 ‘유안타증권 계좌 개설’·BC카드 ‘페이북 이번주 미션’
- 케이뱅크도 대출 옥죄기 동참… 6일부터 ‘마통’ 가입·증액 안 된다
- 예금보다 더 치솟는 대출금리… 고승범 “예대마진 확대 계속될 수 있다”
- 잔금대출도 조인다… 시중은행 ‘분양가 이내’만 빌려준다
- “대출 문턱 더 좁아진다”… 은행권, 전세·잔금대출 심사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