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 거래량 3달만에 32%까지 급감
“대출규제·금리인상으로 예견된 수순”
“전세불안·공급부족으로 단정 짓긴 일러”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정부의 대출규제와 금리인상으로 서울아파트 매매거래량이 급감하면서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여기에 일부 지역에선 시세보다 최고 2억원까지 가격을 내린 ‘급매물’이 등장하면서, 서울 집값이 ‘대세 하락’으로 이어질지에 이목이 집중된다.
7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1546건으로 전달(9월, 2693건)의 60% 수준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4700건→4188건→2693건→1546건으로 급감하고 있으며 3개월 만에 32%까지 줄어들었다.
10월 거래건 신고 마감이 3주가량 남아있지만, 부동산 업계에선 큰 이변은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금리 인상 및 각종 규제로 이미 위축된 매수세가 반영된 결과라는 것이다.
또 이를 반영하듯 한국부동산원의 11월 1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1일 기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는 8주 연속 위축되고 있고, 은평·서대문·마포가 속한 서북권에선 이미 공급이 수요를 초과했다.
업계에선 정부가 줄곧 강조했던 ‘집값 고점’ 인식이 퍼져 시장을 지켜보자는 인식이 커졌고, 가계부채 조절을 위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된 것도 매수세를 약화하는 데 일조했다고 분석한다.
향후 관건은 ‘거래절벽이 집값 인하로 이어지느냐’하는 부분이다. 거래량이 줄면 가격도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그동안은 거래절벽 현상과 집값 상승이 동시에 발생했다. 이에 대해서 정부는 그간 집값 문제를 주택 부족이 아닌 다주택자에게서 찾았고, 부동산 공급에 인색했던 정부의 영향이 현재의 집값에 반영됐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대부분 전문가는 부동산시장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집값을 예상하는 것이 ‘사람의 영역이 아니다’며 전망에 대한 답변을 꺼리거나, 상당히 소극적으로 말하지만, 최근 실거래가가 1억~2억원씩 떨어진 급매물이 나오는 부분은 관심에 가져볼 필요는 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광진구, 노원구 등 일부 단지에서 최근 실거래가보다 적게는 수천만원, 많게는 2억원이나 저렴한 가격에 급매물로 나온 아파트의 매매거래가 이뤄졌다.
업계에선 정부가 금리 인상과 강도 높은 대출 규제를 강행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순서라면서도, 일각에선 이를 계기로 ‘대세 하락’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매수자들의 관망세가 짙어졌고, 대출까지 막히면서 실수요자들도 집을 살 수 없는 상황에서 대출로 집을 산 세대주들이 어쩔 수 없이 집을 내놔야 하는 상황이 올 것이란 주장이다.
다만 전세시장의 불안이 매매가를 키울 수 있고, 전반적인 공급 부족이 시장을 자극할 가능성이 남아있기 때문에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