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정필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이 23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삼성 준감위 정례 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5.07.23.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이 23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삼성 준감위 정례 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5.07.23.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은 삼성전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등기이사에 복귀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최근 이 회장이 그룹 경영권 승계 관련 ‘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에 대해 대법원의 최종 무죄 판결로 사법리스크를 해소한 만큼, 총수로서 이사회에 합류해 책임경영을 강화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찬희 위원장은 23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재판에 대한 굴레에서 벗어나서 죽기를 각오하는 공격적 경영을 해야만 국제 사회에서 삼성이 발전하고 삼성에 의존하는 우리 경제가 함께 발전할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책임경영이라는 측면에서 (이 회장이) 등기이사로 복귀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많은 위원이 공감하고 있다”며 “개인적으로는 등기 임원의 조속한 복귀를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등기 임원 복귀는 상법상 주주 총회도 거쳐야 하고, 정기총회를 하든 임시 총회를 하든 시기상의 문제가 있다”면서 “또 방식도 고려해야 하기에 이 역시 회사의 경영 판단 측면에서 진행돼야 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국내 4대 그룹 총수 중 유일하게 미등기임원이다. 등기임원은 미등기임원과 달리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기업 경영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진다.

재계 안팎에서는 이 회장의 사법리스크가 해소되면서 삼성그룹 차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삼성 컨트롤타워 부활 논의가 속도를 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 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개인적으로 삼성이라는 큰 기업이 국민 경제에 차지하는 위치와 국가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위원회 내부에서 통일된 의견을 내지 못할 정도로 어려운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500만명이 훨씬 넘는 국민이 삼성전자의 주주이고 삼성그룹 전체와 국민의 관계가 연결돼 있다”며 “이제는 삼성이 하나의 기업이 아니라 국민 경제를 책임지는 기업으로써 기업가적인 책임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준감위는 이 회장과 만나 등기임원 복귀와 컨트롤타워 재건 문제 등에 대한 의견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 위원장은 “조만간 이 회장과 준감위원들 간에 간담회 형식이나 어떤 방식으로든 저희 의견을 공식적으로 전달할 기회를 갖도록 하겠다”며 “가장 이른 시일 내에 전달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사법부의 판단에도 다시 한 번 존중을 표한다”고 설명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