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국내기업 상당수가 여성인력 활용이 경영성과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출산과 육아 등으로 인한 업무공백 문제로 여성인력 채용을 확대하겠다는 기업은 많지 않았다.
8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최근 3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성인력 활용에 대한 기업 인식 조사’에서 여성인력 활용이 도움이 됐다는 응답이 67.2%로 집계됐다.
하지만 ‘여성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은 15.5%에 불과했다. 84.5%의 기업들은 현행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여성관리자·임원 확대 계획에 대해서도 81.1%의 기업이 ‘현재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밝혔고 ‘늘리겠다’는 기업은 17.7%에 그쳤다.
기업들은 여성인력의 강점으로 ‘성실성·책임감(48.9%)’ ‘친화력'(44.9%)’ ‘창의성(28.2%)’ 등을 주로 꼽았다. 반면 남성에 비해 부족한 능력으로는 ‘외부 네트워크(57.9%)’ ‘팀워크(31.6%)’ ‘리더십(23.2%)’ 등을 지적했다.
여성인력을 활용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애로로는 ‘임신·출산·육아 등으로 인한 업무공백 및 경력단절(44.6%)’을 첫 손에 꼽았고 이어 ‘야근·출장 등에서 업무상 제약(29.7%)’ ‘여성인적자원 개발·관리 노하우 부족(18.6%)’ 등을 들었다.
여성인력 활용 확대를 위해서는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 등 출산·육아 관련 사회적 지원(54.5%)’ ‘여성 리더십 교육 등 여성 관리자 육성 지원(35.9%)’ ‘출산·육아기 경력단절 예방(17.3%)’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저출산·고령화시대 및 산업의 소프트화·서비스화 시대를 맞아 기업이 생존·발전하기 위해서는 여성인력의 적극적 활용이 필수요소가 되고 있다”며 “기업에서는 업무를 정형화·효율화해 장시간 근로를 하지 않도록 업무시스템을 개선하고, 남녀 모두 업무성과만으로 평가하도록 인사평가시스템도 선진화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에서는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방과후학교 확충 등 여성의 경제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대한상의 中企 경영자문단, 발족 5년만에 자문 5000회 돌파
- 재계 총수들, 시진핑 주석 간담회에 ‘총출동’
- 세월호 安全성금 1천억원 넘었다
- 전경련 등 산업계 “저탄소차협력금 규제 철회” 건의
- 경제5단체 ‘안전 대한민국’ 구축 위해 팔 걷었다
- 대한상의 “朴대통령 다양한 개혁 조치에 공감”
- 기업 73% “정년 연장 위해 임금피크제 도입 필요”
- 대한상의-국세청 ‘세정개선’ 나선다
-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시의적절한 조치”
- “정부-재계 상시협력채널 구축하자”
-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 전경련 회장단 사의 표명
- 재계 어려움 호소… 윤상직 장관 “규제개혁 앞장서겠다”
- 대한상의 신년인사회 정·재계 1500명 참석
- 올 하반기 산업기상도… 정보통신 ‘맑음’
- 상의 “국내 기업 빅데이터 활용률 저조… 선진국에 2년 이상 뒤져”
- 대한상의 “中 경제변화 세밀히 대응해야”
- 대한상의, 신임 유통위원장에 이원준 롯데쇼핑 대표이사 추대
- 상의, 韓-체코 비즈니스 포럼 개최
- 기업 체감경기 2분기 연속 하락… 전 분기보다 6p↓
- 상의 “국내기업 ‘해외發 준법리스크’ 대비해야”
- 韓·中 경제인, 에너지·환경기술 협력강화 다짐
- 상장기업 “섀도우보팅 폐지 큰 부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