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서 사진 좌측부터 원창묵 원주시장, 최문순 강원도지사, 김윤수 서울대학교병원장, 백순구 원주연세의료원 원장이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임상시험 산업화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 강원도청) ⓒ천지일보 2021.11.3
3일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서 사진 좌측부터 원창묵 원주시장, 최문순 강원도지사, 김윤수 서울대학교병원장, 백순구 원주연세의료원 원장이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임상시험 산업화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 강원도청) ⓒ천지일보 2021.11.3

[천지일보 강원=이현복 기자] 강원도가 3일 도(道)(도지사 최문순), 원주시(시장 원창묵), 연세대학교 원주연세의료원(의료원장 백순구)과 서울대학교병원(병원장 김연수) 4개 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임상시험 산업화를 위해 손을 잡았다.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최문순 강원도지사, 원창묵 원주시장, 백순구 원주연세의료원장, 장인진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어 각 기관장 인사말과 이광재 국회의원 축사(영상)를 시작으로 업무협약 체결 후 참석자 사진 촬영 순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임상시험 플랫폼 구축과 사업모델 공동 발굴 ▲임상시험 연구 정보와 자료 공유, 전문인력 양성 협력 ▲신약개발, 의료기기, 의료 AI 임상시험 연계 협력 추진 등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임상시험이란 의약품 등의 개발 과정과 시판을 위해 허가나 승인을 받기 위한 과정으로 신물질의 발견 후 비임상시험, 사전 승인, 3차례의 임상시험, 시판 허가와 시판 후 임상시험 등으로 이루어지며 많은 예산과 시간이 필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전통적 방식의 임상시험 프로세스에 데이터 기반 최신 기술을 적용해 상대적으로 적은 기간과 비용을 통해 임상시험이 가능하도록 임상시험 환경의 질적 향상 통해 도내 의료 관련 기업(제약, 의료기기, 의료AI, 바이오 등)의 제품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디지털헬스와 정밀의료 사업에 이어 강원도 임상시험 산업화를 통해 의료 산업의 수준을 한층 더 높이는 계기가 되고 강원도의 정밀의료 산업육성에도 시너지가 발생할 것이다”고 말했다.

원창묵 원주시장은 “지자체 지원을 통해 원주연세의료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협력하고 서울대와의 콘소시엄을 통해 원주가 산·학·연·병·관의 표본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백순구 원주연세의료원장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기존 임상시험 체계에 적용이 어렵거나 임상적 근거를 보완하는 연구센터를 구축해 시판후 약물감시 뿐만 아니라 임상시험 전주기 과정에서 폭넓은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산업체 활용에도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장인진 서울대병원 센터장은 “스마트 임상시험센터 구축과 함께 실용적 임상시험을 통해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임상시험 고도화와 미래의료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원도, 원주시와 원주연세의료원은 그동안 디지털헬스 생태계 조성사업과 정밀의료·라이프로그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사업 등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굵직한 연구지원 사업을 추진하면서 차세대 의료시스템 혁신과 정밀의료 산업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