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이른바 ‘고발 사주 의혹’의 핵심 인물인 손준성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이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1.10.26](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1/770045_787552_2048.jpg)
텔레그램 전송 두고 공방 예상
내일 김웅 출석해 조사 전망
[천지일보=홍수영 기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이른바 ‘고발사주’ 의혹과 관련 손준성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을 비공개 소환했다.
공수처는 2일 손 검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손 검사는 공수처 차량을 통해 공수청 청사에 설치된 차폐시설을 통해 내부로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손 검사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 재직시절인 지난해 4월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으로 근무하면서 여권 인사 등에 대한 고발장을 작성하거나 근거자료수집 등을 지시하고, 이를 당시 미래통합당 김웅 후보(현 국민의힘 의원) 등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손 검사가 공수처에 출석해 조사를 받는 건 지난 9월 9일 윤 전 총장과 함께 입건된 이후 55일 만이다. 당시 공수처는 다음날인 9월 10일 손 검사와 김 의원의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며 강제수사에 나섰다.
그러나 그 이후 이렇다 할 진척 없이 시간은 두달 가까이 흐르면서 공수처의 수사에 의문부호가 붙기 시작했다.
그간 공수처는 여러 차례 손 검사를 소환하려 했으나, 일정 조율이 안 되면서 체포영장·사전구속영장까지 청구하며 손 검사 출석을 담보하려 노력했다. 비록 영장 모두가 기각됐지만, 일련의 과정으로 손 검사 출석을 이끌어내는 데엔 성공했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국민의힘 대선 경선 예비후보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을 제보했던 조성은씨가 3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서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 등 의원 6명을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고소하기에 앞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1.9.30](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1/770045_787553_2048.jpg)
그러나 그 과정에서 무리한 영장 청구로 인권침해적 수사가 이뤄졌다는 지적을 받았다. 영장에 기재된 연루인물 상당수를 ‘성명불상’ 처리한 점에서도 사실관계 확인도 제대로 안 된 채 영장을 쳤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손 검사가 혐의를 완강히 부인한 만큼 이날 조사도 공수처와 손 검사 측의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공수처는 손 검사의 텔레그램 메시지에 주목한다. 고발사주 의혹 제보자인 조성은(당시 미래통합당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씨는 지난해 4월 자신이 전달받은 고발장 사진 파일에 ‘손준성 보냄’이라고 명시돼 있는 것을 두고 손 검사가 이를 보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텔레그램은 ‘전달’ 방식을 택하면 최초 전송자가 누구인지 기록으로 남는 기능이 있다.
여기에 공수처는 조씨와 김 의원 간의 녹취록에 담긴 김 의원이 대검의 누군가와 긴밀하게 연결돼 있는 듯한 발언도 주요한 정황으로 본다.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국민의힘 김웅 의원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여권 인사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1.9.8](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1/770045_787554_2048.jpg)
조씨가 공개한 녹취록에 따르면 김 의원은 고발장을 꼭 대검에 전달해야 한다고 말하면서 “우리가 어느 정도 초안을 잡아놨다. 이 정도 보내면 검찰에서 알아서 수사해준다” “간다고 하면 그쪽(검찰)에다가 얘기해 놓을 게요” 등의 발언을 했다.
하지만 손 검사는 모든 혐의를 부인한다. 특히 ‘손준성 보냄’이 찍힌 텔레그램 메시지에 대해 ‘반송’ 처리하는 과정에서 들어간 것으로 본다.
공수처는 이날 조사를 통해 텔레그램 메시지를 진짜 손 검사가 전송했는지 등을 밝히려 할 전망이다.
또 고발장 작성에 ‘윗선’ 개입 여부도 추궁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씨와 김 의원의 녹취록에 따르면 김 의원은 “고발장을 할 때, 대검을 ‘찾아가는 느낌’이 있다. 찾아가야 한다”며 “제가 가면 ‘윤석열이 시켜서 고발한 것이다’가 나오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이 아닌 다른 이가 나서야 윤 전 총장이 고발을 사주했다는 말이 안 나온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