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의 아파트값이 3.3㎡당 2배 올랐다는 통계가 나왔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천지일보DB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의 아파트값이 3.3㎡당 2배 올랐다는 통계가 나왔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천지일보DB

文정부 출범 이후 8~10월 대비 가장 높아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서울에서 월세를 낀 임대차 거래 비중이 약 40% 수준까지 올랐다. 금융권에서 가계대출을 전방위로 옥죄면서 매매뿐 아니라 전세 거래까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27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8~10월 서울에서 체결된 아파트 임대차 계약(계약일 기준) 등록은 전날까지 총 3만 3435건이며, 이 가운데 월세가 조금이라도 낀 계약은 39.2%(1만 3099건)로 집계됐다. 이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부터 올해까지 같은 기간(8∼10월) 대비 가장 높은 수치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의 월세가 낀 임대차 계약 비중은 2017년 30.4%, 2018년 26.8%를 나타냈다. 2019년엔 27.1%, 지난해엔 32.9%, 올해는 39.2%로 3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서울시는 임대차 계약을 전세·월세·준월세·준전세로 분류한다. 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12개월치 이하인 임대차 거래를, 준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12~240개월 치인 거래를 의미한다.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경우다.

‘전세의 월세화’ 비중은 작년 7월 말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도입한 새 임대차법 시행 직후 30%대로 치솟았다.

전세 품귀에 가격이 치솟으면서 전세를 구하지 못하거나 오른 전셋값을 마련하지 못하는 임차인들이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월세 낀 계약을 맺는 사례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특히 올해는 이 비중의 증가 폭이 작년보다 더 커졌다. 부동산 보유세 강화가 맞물리면서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는 집주인이 늘어난 영향도 컸다는 게 업계의 판단이다.

지역별로 보면 올해 8~10월 3개월간 서울 25개구 중 20개구에서 월세 낀 임대차 계약의 비중이 최근 5년 새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구(50.6%)가 50%를 넘어 가장 높았고 이어 중랑구(47.8%), 강동구(46.2%), 송파구(44.6%), 은평구(42.8%), 강남구(42.6%), 구로구(40.7%), 강서구(40.1%)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강남·북을 불문하고 ‘월세 난민’ 비중이 확대된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올해 8~10월 3개월간 서울 25개구 중 20개구에서 월세 낀 임대차 계약의 비중이 최근 5년 새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구(50.6%)가 50%를 넘어 가장 높았고 이어 중랑구(47.8%), 강동구(46.2%), 송파구(44.6%), 은평구(42.8%), 강남구(42.6%), 구로구(40.7%), 강서구(40.1%)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강남·북을 불문하고 ‘월세 난민’ 비중이 확대된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