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3068.82)보다 49.64포인트(1.62%) 내린 3019.18에 마감한 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1003.27)보다 20.07포인트(2.00%) 하락한 983.20에 거래를 종료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184.0)보다 4.7원 오른 1188.7원에 마감했다.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3068.82)보다 49.64포인트(1.62%) 내린 3019.18에 마감한 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1003.27)보다 20.07포인트(2.00%) 하락한 983.20에 거래를 종료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184.0)보다 4.7원 오른 1188.7원에 마감했다.

코스피 소형주 22.7%·중형주 17.7% 상승… 대형주 1.6% 그쳐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올해 들어 주식시장에서 강세를 보였던 대형주가 하반기 들어 부진에 그치는 사이 중소형주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첫 거래일인 1월 4일부터 10월 1일까지 코스피는 5.07% 상승했다.

특히 시가총액 규모별 등락률은 희비가 엇갈렸다. 이 기간 대형주는 1.61% 오르는 데 그쳤으나 중형주와 소형주는 각각 17.74%, 22.70% 상승했다.

시총을 기준으로 유가증권시장에서 대형주는 상위 1∼100위, 중형주는 상위 101위∼300위, 소형주는 나머지 종목이다.

특히 대형주 시총 상위권에서는 대장주 삼성전자(-9.63%)를 비롯해 SK하이닉스(-15.61%), 셀트리온(-30.92%), LG생활건강(-17.84%), SK바이오팜(-40.24%), 엔씨소프트(-36.09%) 등 굵직한 종목이 줄줄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반면 중소형주는 연초 이후 현재까지 코스피 주가 상승률에서 상위권을 휩쓸고 있다. 소형주에 속하는 일성건설(478.95%), 이스타코(476.07%), 코오롱플라스틱(368.82%)과 중형주인 넥스트사이언스(418.52%), 효성첨단소재(381.21%) 등이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중소형주 강세가 뚜렷했다. 올해 들어 가장 마지막 거래일이었던 이달 1일까지 코스닥 지수는 1.53% 올랐다. 시총 101위∼400위 중형주와 400위 미만 소형주는 각각 3.70%, 10.63% 상승했는데 1∼100위 대형주는 2.49% 하락했다.

올해 연초만 해도 상승장의 주인공은 대형주였다. 삼성전자를 필두로 주요 대형주 주가가 파죽지세로 올랐고 중소형주는 상대적으로 주가 흐름이 부진했다. 그런데 이후 코스피가 대형주를 중심으로 박스권에서 횡보하는 동안 투자 수익률을 기대하는 매수세가 중소형주로 옮겨가는 순환매가 나타났다.

여기에 이미 주가가 많이 오른 대형주의 추가 상승 여력이 제한되고 대형 플랫폼 기업을 겨냥한 규제 이슈 등도 떠오르면서 더욱 중소형주에 힘이 실렸다.

시장에서는 당분간 중소형주 주도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