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0.8.18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정의당 장혜영 의원 ⓒ천지일보DB

장혜영 의원 “자산시장 변동 따른 불안 가중 우려”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청년들이 무리하게 빚을 내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빚내서 투자)’ 현상이 더욱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자산시장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손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인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0~30대의 신용거래융자 신규대출은 올해 상반기 약 38조 7천억원에 달했다.

전체 신용거래융자 185조 9천억원의 20%가 상대적으로 재정능력이 부족한 2030세대의 ‘빚투’에 투입됐다는 의미다.

올해 연간으로도 지난해의 57조원을 가뿐히 웃돌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청년층의 신용거래융자 규모는 2017년 23조 6천억원에서 2018년 30조 8천억원, 2019년 32조 3천억원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예탁증권담보융자 신규대출도 올해 상반기 3조 5천억원에 달했다. 연간으로도 지난해의 5조 3천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올해 새로 계설된 증권계좌도 청년층 명의가 1172만개로 전체(2115만개)의 과반을 차지했다. 올해 들어 주식투자를 시작한 청년들이 많다는 의미다.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은 대출기간에 따라 4∼8%, 예탁증권담보융자는 평균 7∼9%로 높은 수준으로, 거래수수료와 증권거래세까지 감안하면 자산가격 상승시 수익은 제한적이고, 하락시에는 큰 피해가 우려된다는 게 장 의원의 지적이다.

특히 신용융자는 주식가치 대비 담보비율(140%) 밑으로 떨어질 경우 주식을 임의로 되파는 반대매매에 나설 수 있어 그대로 손실이 확정될 수도 있다.

장 의원은 “다른 세대에 비해 소득·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청년들이 무리하게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게 되면, 자산시장 변동에 따라 삶 자체의 불안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