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국내 주요 은행이 한 달 사이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일제히 상향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압박이 계속되면서 은행들은 가산금리와 우대금리를 조정해 적용금리를 높였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5대 은행인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은 이날부터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 연 2.48∼4.24% 금리를 적용한다. 이는 한 달 전인 지난달 16일 연 2.34∼4.13%보다 하단은 0.14%p, 상단은 0.11%p 높아진 수준이다.
은행들은 지난달과 이달 사이에 가산금리는 올리고 우대금리는 줄이는 방법으로 적용금리를 높였다. 농협은행은 이달 17일부로 거래실적에 따라 주던 우대금리를 기존 0.8%p에서 0.5%p로 0.3%p 낮췄다. 이는 적용금리 하단을 0.3%p 높이는 효과를 냈다.
다만 지난달 19일자로 가산금리는 0.07%p 낮춰, 한 달 사이 총 0.23%p의 금리 인상 효과가 있었다.
국민은행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이달 7일부로 가산금리를 0.11%p 올렸다. 자체 금리 조정에 더해 은행연합회가 발표한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반영하면서 국민은행의 가산금리는 이날부터 0.03%p 올랐다.
코픽스가 아닌 금융채 금리를 기준으로 삼아 금리를 수시로 조정하는 신한은행과 하나은행도 변동금리를 인상했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16일 기준 연 2.84∼3.89%를 받던 주담대 변동금리가 이달 18일 기준으로는 연 2.94∼3.99%로 올랐다. 상단과 하단이 0.10%p 인상됐다.
신한은행은 이미 지난달 16일에 전날보다 금리를 0.2%p 이상 높였다. 여기에 최근 한 달 안에 금리를 더 올린 것이다.
하나은행은 신규취급액 기준 주담대 변동금리가 지난달 16일 연 2.733∼4.033%에서 이달 18일 연 2.820∼4.120%로, 신잔액 기준 금리는 지난달 16일 연 2.523∼3.823%에서 이달 18일 연 2.610∼3.910%로 각각 0.087%p 상승했다. 5대 은행 가운데 우리은행만이 한 달 새 금리 상·하단이 낮아졌다.
- 신용대출도 연봉 수준으로 줄어든다… 최대 절반까지
- 가계부채 증가세 ‘대출 억제’ 약발 먹히지 않아… 은행권 7월 가계대출 10조↑
- 은행권 7월 가계대출 10조↑, 주택매매·카뱅 공모 영향
- ‘화려하게 데뷔했다’… 카카오뱅크, 상장 첫날 금융 대장주 등극
- 치솟는 물가·고삐 풀린 집값… 점점 금리인상 ‘외통수’ 몰려
- 신한은행, 쏠 인증 통한 ‘간편 실명확인’ 서비스 시행
- 하나은행, 도쿄 패럴림픽 선수단에 후원금 전달
- NH농협은행, 함께하는 우리농가 동행기업에 대출한도 금리 우대 지원
- NH농협은행, 전세대출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는 ‘NH모바일전세대출 플러스’ 출시
- 우리은행, RPA 확대 실시로 업무체계 혁신
- 하나은행, 소망교회와 모바일헌금 업무협약
- 우리은행, 적도원칙 가입으로 ESG 경영 강화
- 우리은행, 우리원뱅킹 전용 ‘우리 더달러 외화적립예금’ 출시
- 금융권, 내부통제 결함 이사회가 제재… 금융당국엔 직접 개입보다 ‘개선방향 제시’ 요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