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소비자들이 느끼는 경제상황 전망 등을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계엄 사태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은행은 24일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통해 12월 CCSI가 88.4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22년 11월(86.6)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12월 CCSI는 11월보다 12.3p 떨어졌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12.6p) 이후 가장 많이 하락한 것이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지수의 기준치는 100으로, 100을 초과할 경우 소비자들이 현재의 경기를 과거 평균 수준보다 좋아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11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현재경기판단(52, -18p)이 눈에 띄게 하락했다. 지난 2020년 3월(-28p) 이후 낙폭이 가장 컸다. 향후경기전망(56, -18p)도 2022년 7월(-19p)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현재생활형편(87, -4p), 생활형편전망(86, -8p), 가계수입전망(94, -6p), 소비지출전망(102, -7p) 등도 하락했다.
12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03으로 11월(109)보다 6p 하락했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지난 9월(119_ 이후 석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세 둔화와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감소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지난 11월 93에서 12월 98로 5p 상승했다.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따른 대출 금리 상승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향후 1년간의 물가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9%로 전월보다 0.1%p 상승했다. 3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7%로 전월보다 0.1%p 올랐고, 5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전월과 동일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17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 정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하방위험 커질 수도”
- 소비자들도 트럼프 불확실성 우려… 경기 반등 기대감 28개월 만에 최대↓
- “주택 매수심리 꺾여”… 서울·수도권 매도세 우세
- 정부 “물가 안정되는 가운데 완만한 경기 회복세… ‘대내외 불확실성’ 존재”
- “1년 뒤 집값 오른다”… 주택가격전망, 35개월 만에 최고
- 기준금리 올라도 가계대출 잔액 늘었다… 1인 평균 9500만원 첫 돌파
- 한 해 동안 서울 아파트값 전고점 93.8% 회복… 정부 공급 대책 실효성 논란
- [송년기획] “안 그래도 어려운데 계엄·탄핵 정국까지”… 잇단 하방리스크에 휘청이는 韓경제
- “정치 불확실성 해소되나”… 1월 소비심리, 소폭 반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