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위헌적 계엄 강력 규탄
‘尹 퇴진’·새로운 사회제도 촉구
대다수 시민, 과격 발언에 불편
일부 시민 “욕먹을 행동 했다”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동지들, 우리가 지금 이 시간부터 시작해야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윤석열 퇴진은 당연한 목표이며, 이제는 내란죄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우리 정치 체제에서 대통령 제도 자체가 문제일지도 모릅니다. 과도한 권력이 대통령 한 사람에게 집중되는 것이 문제라면, 의원내각제로 제도를 바꾸는 방안을 논의해야 합니다.” - 민주노총
“제 속마음은 말로 다 표현하기 어려운 분노와 화로 가득 차 있습니다. 입에 담기 어려운 감정이 치밀지만, 공공집회라는 자리에서는 정제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시민
윤석열 대통령의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 해제가 발표된 가운데,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민주노총이 위헌적 계엄을 규탄하며 무기한 총파업을 선언하는 집회가 열렸다. 전날 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소식이 전해진 이후, 민주노총 집회 참석자들은 현 정세에 대한 강한 비판과 새로운 사회적 제도를 향한 열망을 표출했다.
반면 집회를 지켜보던 일부 시민은 윤 대통령을 향한 과격한 발언에 불편함을 드러내며 언어의 절제를 촉구했다.
민주노총 권수정 부위원장은 이날 오전 발언을 통해 윤 대통령의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며 퇴진을 촉구했다. 권 부위원장은 ‘윤석열은 또라이’라는 원색적인 표현을 써가며 강력히 규탄했다. 그는 “박근혜를 퇴진시키면서 다시는 이따위 짓을 안 해도 될 줄 알았다”라면서 “그런데 윤석열은 더 또라이다. 우리는 윤석열을 퇴진시킬 것이다. 시간문제다. 빨리 퇴진시키자. 어차피 저 새끼는 임기를 마치기 틀렸다”라고 거친 표현을 사용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 지부장 구교현씨는 배달 라이더와 자영업자들의 현실을 고발하며 정부 정책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구씨는 “배달 노동자와 자영업자를 이런 전쟁 같은 현실로 몰아넣은 장본인이 바로 윤석열 정권이라는 것이 명확하다”며 “퇴진, 탄핵, 구속 등 무엇이든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서민들의 삶은 나아질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이날 집회 현장을 지나던 대다수의 시민은 일부 과격한 발언에 불편함을 드러내며 “비판은 할 수 있지만 공공장소에서는 언어를 절제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집회를 지켜본 박영운(71, 남, 서울 종로구)씨는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와 철회를 둘러싼 논란 속에서 민주노총의 강경한 입장에 대해 “공공의 자리에서는 감정을 억누르고 이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점심 약속으로 광화문을 찾은 정순희(55, 여, 서울 성동구)씨는 민주노총 집회에서 나온 과격한 발언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비판은 할 수 있지만, 대통령이라는 자리의 상징성과 공공 집회라는 성격을 고려했을 때 쌍욕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공식적인 자리에서 함부로 말하는 건 문제가 있다”며, 개인적인 분노와 공적 언어의 차이를 지적했다.
광화문 인근 직장에서 점심을 먹으러 나왔다는 김혜진(26, 여)씨는 “물론 대통령이 잘하는 것도 있고 못하는 것도 있지만, 그런 비난까지는 너무 지나치다”며 집회에서 나온 비판의 수위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김씨는 윤 대통령의 퇴진, 탄핵, 하야 중 어떤 처분이 적정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혼란 없이 임기를 다 마쳤으면 한다”고 답했다.
일부 시민들은 민주노총 집회에 대해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비판은 정당하다”며 동의의 입장을 내비쳤다. 이들은 윤 대통령의 정책과 행동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며, 비판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한 시민은 “욕먹을 행동을 했으니 욕을 드시는 것”이라며 민주노총 집회의 발언에 공감을 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