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6년 만에 두 배로 올랐다. 이에 따라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수요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3.3㎡(평)당 평균 분양가는 4311만 7천원으로 전용면적 84㎡ 기준 평균 분양가는 14억원을 넘어섰다.
22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8월 말 기준으로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 가격 동향’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서울 민간 아파트 1㎡당 평균 분양가는 1304만 3천원으로 3.3㎡당으로 환산하면 4311만 7천원이 됐다.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지난해 2월부터 꾸준히 오르기 시작했다. 올해 6월에는 3.3㎡당 분양가가 전월 대비 8.28% 오른 4190만 4천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4천만원대를 돌파했다. 지난 7월에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3.3㎡당 분양가는 4401만 7천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8년 2월 3.3㎡당 2192만 1천원에 비해 두 배 이상 오른 수치다.
HUG의 월별 평균 분양가는 최근 12개월 동안 분양 보증서가 발급된 민간 분양 사업장의 평균 분양 가격을 의미한다. 올해는 강남 지역에서 높은 분양가를 기록한 단지들이 많이 포함되면서 평균 분양가가 크게 상승했다.
서울에서 3.3㎡당 분양가가 가장 높았던 곳은 광진구에 위치한 ‘포제스 한강’으로 3.3㎡당 1억 1500만원에 전용 84㎡ 분양가는 3억 2천만원에 달했다. 전국 평균 분양가 중 3.3㎡당 4천만원대를 넘어선 서울 아파트는 이제 ‘국민평형’인 전용 84㎡ 기준으로도 14억원대가 표준이 됐다.
강북 지역의 ‘푸르지오 라디우스 파크’는 전용 84㎡ 기준 약 12억원의 분양가를 기록했지만 마포구의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는 같은 기준으로 17억 4510만원에 분양됐다.
건설경기 침체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원자재 가격은 다소 진정세를 보였으나, 인건비 상승 등 분양가 상승 요인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의 9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107.5로 지난해 6월 이후 16개월 연속 기준치(100.0)를 넘어 분양가 상승이 예상되고 있다.
박광배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건설자재 가격은 안정화되고 있지만 노무비를 포함한 공사비는 계속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비용 상승은 분양가를 계속해서 끌어올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 수도권 소형아파트 ‘인기’… 1·2인 가구 늘고 진입장벽 낮은 영향
- 규제 강해지자 쌓이는 서울 아파트… 1달 새 매물 7.8만건↑
- 10년 만에 20억원서 9배 뛴 아파트 등장… 초고가 거래 14건 확인
- 스트레스DRS 2단계 효과 나타나나... 수도권 아파트 매물 다시 증가세
- 10월 수도권에 1만 6485가구 대단지 아파트 분양… 올해 월간 최대 규모
- 치솟는 공사비, 이번엔 잡히나… 政 “상승률 2% 내외 관리”
- 서울아파트 분양가 3.3㎡당 5469만원… 작년보다 2000만원 올라
- 천정부지 공사비에 강남 재건축도 ‘찬바람’… 방배7구역도 3번째 재입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