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정기국회 전 입장 표명할 듯… 의제 조율 관건

▲ 박근혜 대통령 (사진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9월 정기국회를 앞두고 여야 대치 정국을 풀 수 있는 핵심 카드로 3자 회담이 또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1일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규명을 위한 3차 청문회를 끝으로 사실상 국정조사가 마무리되면서 여야 모두 출구전략에 고심하는 모양새다.

앞서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대통령과의 단독 회담을,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함께 만나는 3자 회담을 각각 제안한 바 있다. 이에 청와대가 여야 원내대표까지 동석시키는 5자 회담으로 역제안했지만 민주당이 이를 거절한 상태다.

일단 9월 정기국회 직전인 다음 주 초중반에는 어떤 식으로든 청와대의 기류가 바뀔 것으로 정치권은 전망하고 있다. 정국 안정을 위해선 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하반기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해 박 대통령 입장에서도 풀어야 할 과제인 셈이다.

특히 하반기 최대목표인 경제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선 야당의 협조가 절실하다. 새누리당도 민주당이 장외 투쟁을 접고 국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출구를 마련해줘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정의화 의원은 지난 21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당 지도부에게 박 대통령을 만나 3자 회담 수용을 제안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새누리당 이인제 의원도 이날 국정원의 국내 정치 개입을 금지하도록 하자는 민주당의 국정원 개혁안을 수용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이 의원은 국회 내 국정원 개혁 특위 설치를 주장했다.

또한 박 대통령의 최측근인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같은 날 취임 100일 언론 인터뷰에서 굳이 자신이 포함되는 ‘5자 회담’을 할 필요가 없다는 뜻을 청와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청와대가 여전히 야당과의 회담을 꺼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이 박 대통령의 사과, 남재준 국정원장의 사퇴 및 국정원 개혁, 국정원 선거개입 의혹에 대한 특검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어서다. 민주당이 요구하는 의제로 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새누리당 조해진 의원은 22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민주당의 장외투쟁 등 정국 대치 상황과 관련해 “대통령 하시기에 따라 야당이 장외로 나가는 것을 막을 수도, 또 장외로 나간 야당이 빨리 돌아올 수 있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박 대통령은 국회와의 관계, 또 야당과의 관계를 돈독하게 해서 본인이 추진하는 국정 수행에 유익하게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면서 “야당 대표를 만나는 것을 어려워하거나 부담스러워 않았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