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여야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및 부속물 열람과 관련해 여야 의원 각각 5명씩 열람하기로 했다.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와 민주당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9일 오후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양측이 합의한 부분에 한해 국회 운영위에서 최소한 범위만 공개하기로 했다.
국회 운영위 소속 여야 의원 5명씩은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열람한 후 이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보고해야 한다.
이후 여야는 10일 오전 11시 국회 운영위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합의내용을 의결하게 된다. 열람은 보안장치를 완비한 후 국회 운영위 소회의실에서 국가기록원으로부터 사본 등을 제출받아 진행된다.
현재 대통령기록물관리법에 따르면 해당 기록물을 열람한 후 누설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형 또는 7년 이하의 자격 정지에 처해진다.
앞서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256만 건에 달하는 열람·공개대상 기록물을 효과적으로 열람하기 위해 국가기록원에 NLL, 북방한계선, 남북정상회담, 등거리·등면적, 군사경계선, 남북국방장관회담, 장성급 회담 등의 키워드를 제시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유영선 기자
sun@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새누리 “권영세 녹음본에 ‘까겠다’ 발언 없어”
- 朴 대통령 “국정원 댓글 의혹 실체 정확히 밝혀야”
- 윤여준 “문재인, NLL 논란 대응 문제 있었다”
- “NLL 포기 주장은 朴대통령에 짐”
- 安, 지역순회… 인재영입 ‘안간힘’
- [포토] ‘NLL 발언 규탄’ 맞불집회 놓는 보수 단체
- ‘국정원·NLL 발언 규탄’ 보수·진보 집회 열려
- 여야 정쟁 속 목소리 높이는 安
- “회의록 열람은 좋지 않은 선례”
- [사설] 대통령기록물은 엄격하게 관리돼야
- [정치칼럼] ‘막장 정치’의 셈법
- NLL 원본 공개 이후 정국 방향은
- 국회 운영위, 대화록 열람·간접 공개하기로
- 국방부 “NLL남쪽 공동어로구역 설정은 NLL 포기”
- 여야, NLL 대화록 열람위원 10명 확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