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그간 주택가격이 과도하게 상승했던 부분에 대한 일정 부분의 하향 조정과정은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이런 방향 아래 정책 기조를 계속 견지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3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최근의 공급 확대, 심리 진정, 금리 추이, 글로벌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시장 하향 안정세는 더 속도를 낼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그 근거로는 “1월 4주 부동산 시장에서 수도권 아파트가 2019년 8월 이후 2년 5개월 만에 매매가격 상승세를 멈췄고, 서울 아파트는 2020년 5월 이후 1년 8개월 만에 0.01% 하락으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향후에도 이러한 부동산 가격 하락 추세가 이어져 더욱 빨라질 것으로 내다보면서 그간의 정책 기조를 흔들림 없이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부동산 매매시장과 관련해선 “서울, 대전, 대구, 세종 등 광역 단위 하락을 비롯해 기초 단위로는 전국 조사대상 176개 지방자치단체 중 하락 지자체 수가 54개까지 늘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실거래는 작년 12월 말 전국 아파트 거래에서 5채 중 4채가 이전 신고가 대비 하락했다”며 “1월 들어서는 강남, 서초, 성동, 일산 등 다수 지역에서 1억원 이상 하락한 거래 사례가 지속적으로 포착되는 등 그 체감의 폭이 더 확대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또 그는 “민간 매수우위지수는 22주 연속 하락하며 2008년 6월 이후 최장기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전세시장에 대해서도 “매매가 하락, 매물 누적 등으로 1월 4주 수도권이 하락 전환하고 서울도 상승세를 종료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갱신계약 비중이 확대되고 신규 임차 수요는 감소함에 따라 강남, 양천 등 1천세대 이상 대단지를 중심으로 매물 소화 기간이 1개월을 상회하고 계약 체결을 위해 호가를 지속 조정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홍 부총리는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 설문조사에 따른 전문가 집단과 한국은행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에 따른 서울 거주자 모두 과반이 올해 주택가격의 하락을 전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설 연휴 직후 부동산·물가 상황 발표… 文정부, 집값 흐름 또 헛다리 짚을까
- 설 연휴 직후 부동산·물가 상황 발표… 文정부, 집값 흐름 또 헛다리 짚을까
- [경제in] 文정부, 대선후보 부동산공약도 헛다리 짚어… 억지로 잡은 집값 오를까봐 ‘전전긍긍’
- [경제in] 文정부, 대선후보 부동산공약도 헛다리 짚어… 억지로 잡은 집값 오를까봐 ‘전전긍긍’
- [경제in] 文정부, 다주택자 세금폭탄은 유지… 상속주택 종부세만 잠깐 빼주기로
- [경제in] 文정부, 다주택자 세금폭탄은 유지… 상속주택 종부세만 잠깐 빼주기로
- 세금폭탄 때린 文정부, 1주택자 완화 검토한다는데 그 실상은… “조삼모사 불과”
- 세금폭탄 때린 文정부, 1주택자 완화 검토한다는데 그 실상은… “조삼모사 불과”
- 文정부, 부동산 민심잡기 안간힘… 洪 “주택시장 안정” 또 섣부른 판단에 자화자찬
- 文정부, 부동산 민심잡기 안간힘… 洪 “주택시장 안정” 또 섣부른 판단에 자화자찬
- 文정부 헛다리 짚는 집값 안정론, 이번엔 성공할까… 부동산시장은 갸우뚱
- 文정부 헛다리 짚는 집값 안정론, 이번엔 성공할까… 부동산시장은 갸우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