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처음으로 1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26일 오전 서울역 광장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이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만 3012명으로 집계됐다. ⓒ천지일보 2022.1.26](https://cdn.newscj.com/news/photo/202201/794385_814958_4312.jpg)
4일 만에 확진자 2배 증가
“1달 뒤 하루 28만명까지”
“연휴 이후 방역강화 안해”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오미크론 여파로 확산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현 추세라면 최악의 경우 한 달 뒤 하루 신규 확진자는 28만명에 달할 것이란 시뮬레이션 결과도 나왔다. 정부는 설 연휴 기간을 대확산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면서도, 연휴 후 현행보다 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도입하지는 않을 방침이다.
28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 신규 확진자는 1만 4518명 발생하면서 직전일(1만 3010명)보다 1508명 증가했다. 지난주 국내 오미크론의 점유율이 50%를 넘겨 우세종화 되면서 빠른 속도로 확진자 수가 늘고 있다. 지난 24일 7513명을 기록한 데 이어 그 다음날인 25일 처음으로 8000명을 넘어섰으며, 전날 1만 5000명에 근접하면서 4일 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
오미크론으로 인해 앞으로 확산세는 더욱 늘 것이란 전망이 일반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델타 변이보다 2배 이상 높은 전파력을 감안해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확산 예측 결과를 지난 26일 발표했다.
정은옥 건국대 수학과 교수 연구팀은 연구과정 설정에서 2차 백신접종의 효과를 델타 변이 84.8%, 오미크론 변이 53.2%로 평가하고, 오미크론 변이 감염재생산지수(확진자 1명의 전파력)를 델타 변이 1.3배로 정했다. 아울러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면역은 평균적으로 약 110일 후 상실된다는 전제 아래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감염재생산지수를 1.84로 설정하고 계산한 결과, 오미크론 확산세가 현재 수준으로 지속될 경우 4주 후 28만 6462명이 감염되고, 2주 후에는 5만 2005명, 1주 후 2만 2191명이 감염될 것으로 예상됐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를 하루 앞둔 13일 서울 중구 무교동의 먹자골목에서 직장인들이 점심식사를 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오미크론 변이 등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누그러들지 않고 있어 정부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2주 연장에 무게를 두고 있다. 사적모임 규모와 다중이용시설 운영시간을 제한하는 현행 조치가 큰 틀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또 종료 시점이 설 연휴와 맞물려 있는 만큼 거리두기 연장 기간이 기존 2주보다 더 길어질 가능성도 있다. ⓒ천지일보 2022.1.13](https://cdn.newscj.com/news/photo/202201/794385_814959_4312.jpg)
고강도 거리두기와 3차 접종률이 높아져 유행 감소가 나타났지만 오미크론의 영향으로 전례 없이 폭증하고 있다. 아울러 이동량이 증가하는 설 연휴를 앞두고 있어 확산세는 더욱 커질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설 연휴를 대확산의 분수령이라 판단하고 현행 거리두기는 앞으로 유지할 방침이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설 연휴는 오미크론의 지배종 전환과 이동, 만남이 맞물려 확진자 수가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또 같은 날 백브리핑에서 설 연휴 후 거리두기 조정 방안에 대한 질문에는 “가급적 거리두기 조치를 강화하지 않는 쪽으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사적모임 최대 6명, 식당·카페 등 영업시간 오후 9시까지 제한하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는 내달 6일 종료된다. 이에 따라 내달 7일부터 시행할 조정안을 미리 결정해야 한다. 설 연휴가 오미크론 확산의 분수령이라 될 것으로 판단하지만 확진자 수가 급증해도 거리두기 강화는 아직까지 어렵다는 입장이다. 손 반장은 “가급적 거리두기를 더 강화하는 부분 없이 오미크론 유행을 관리하는 게 최선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확진자 수뿐 아니라 위중증 환자 수, 의료체계 여력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할 것”이라며 “조정안 발표 시기는 연휴를 거쳐 확정되면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 오늘부터 코로나19 사망자도 先 장례, 後 화장 가능
- 오늘부터 코로나19 사망자도 先 장례, 後 화장 가능
- 신규확진 1만 4518명… 오미크론發 폭증, 사흘만에 2배로(종합)
- 신규확진 1만 4518명… 오미크론發 폭증, 사흘만에 2배로(종합)
- 신규확진 1만 4518명, 사흘 연속 최다… 위중증 350명
- 신규확진 1만 4518명, 사흘 연속 최다… 위중증 350명
- 신규확진 1만 6096명, 나흘 연속 최다… 위중증 316명
- 신규확진 1만 6096명, 나흘 연속 최다… 위중증 316명
- 신규확진 1만 6096명, 나흘째 최다치… 수도권만 1만명(종합)
- 신규확진 1만 6096명, 나흘째 최다치… 수도권만 1만명(종합)
- 3일부터 동네 병원서 코로나 검사·처방·재택치료까지
- 3일부터 동네 병원서 코로나 검사·처방·재택치료까지
- [르포]오미크론 거센 확산세 속 설 귀성객 발길… “마스크 두장 껴”
- [르포]오미크론 거센 확산세 속 설 귀성객 발길… “마스크 두장 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