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화상상담 창구 ‘디지털데스크’ 도입 (제공: 우리은행) ⓒ천지일보 2021.12.13
우리은행의 화상상담 창구 ‘디지털데스크’ (제공: 우리은행) ⓒ천지일보 2021.12.13

오늘의 은행 이슈 모음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우리은행과 국민은행이 금융소비자들을 위해 은행 전문직원에게 화상상담을 받으며 주요 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창구를 열었다.

우리은행은 13일 고객이 화상으로 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화상상담 창구 ‘디지털데스크’를 도입했다.

디지털데스크는 방문고객이 별도의 기기 조작 없이 화상 상담직원으로부터 일반창구 수준의 금융서비스를 받는 화상상담 창구를 말한다. 이를 통해 신규 예·적금, 각종 신고, 대출상담 등 일반창구 수준의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화상상담 직원이 이용자의 얼굴과 신분증을 대조하고, 신분증 진위를 확인하기 때문에 안전성도 갖췄다. 또 사전에 손바닥 정맥을 등록한 고객은 정맥 인증만으로도 간편하게 거래할 수 있다.

우리은행은 다음 달 디지털데스크에 통장, 보안카드 등 실물 증서 발급 기능을 추가한다. 또 세무·부동산 전문가와의 상담 서비스도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의 질을 향상할 예정이다.

KB국민은행 ‘KB 화상상담 서비스’ (제공: KB국민은행) ⓒ천지일보 2021.12.13
KB국민은행 ‘KB 화상상담 서비스’ (제공: KB국민은행) ⓒ천지일보 2021.12.13

KB국민은행도 이용 채널 제한 없이 대면 수준의 금융서비스가 가능한 ‘KB 화상상담 서비스’를 이날부터 시작했다.

해당 서비스는 별도의 앱 또는 프로그램 설치 없이 신분증 촬영, 비밀번호 확인 등 비대면 실명확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마친 이용자는 신규 예·적금 등에 가입하거나 상담을 받을 수 있다.

KB국민은행은 우선 화상상담 전용창구를 방문객이 많은 혼잡 점포 5곳에 설치했다. 앞으로 앱·웹 등 온라인을 통해서도 화상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취급 대상 업무도 금융투자상품 등으로 늘어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