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실련, ‘문재인 정부 서울아파트 시세분석’ 발표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문재인 정권 출범 이후 4년 동안 서울 아파트의 평당(3.3㎡) 가격이 2배가량 올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8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정부 서울 아파트 시세변동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이 서울시내 75개 단지 11만 5000가구를 국민은행 통계에 기반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 기준 3.3㎡당 2061만원에서 올해 11월 4309만원으로 109% 증가했다. 전용면적 84㎡ 아파트를 놓고 봤을 때 6억 2000만원에서 12억 9000만원으로 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상승률이 가장 높은 아파트 단지는 관악구 관악드림타운으로 2017년 5월 1390만원이던 평당 가격이 올해 11월 3536만원으로 2146만원(154%) 올랐다.
상승액이 가장 높은 아파트는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였다. 2017년 5월 7237만원이던 평당 가격이 올해 11월 1억 4023만원으로 6786만원(94%)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에서 지난해 1월 “(집값이) 원상회복 돼야 한다”고 말한 것에 대해서도 비판이 이어졌다. 당시 문 대통령은 2017년 5월 취임 이전 수준의 집값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한 바 있다.
경실련은 “문 대통령이 지난해 1월 집값이 2017년 5월 취임 이전 수준으로 원상회복 돼야 한다고 발언한 이후 집값 상승폭이 더 컸다”며 “원상회복 발언 시점전까지 32개월 동안 30평형 아파트 값은 3억 2000만원이 올랐으나, 발언 이후 22개월 동안 3억 5000만원이 더 올랐다”고 지적했다.
또한 경실련은 아파트값이 상승하면서 내 집 마련 기간도 2배 이상 늘었다고 분석했다.
경실련은 “문재인 정부 임기 초 30평형 아파트는 6억 2000만원으로 노동자 평균 연급여 3096만원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았을 경우 20년이면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었다”면서 “그러나 2021년 11월 기준 아파트 값 12억 9000만원으로 노동자 평균 연급여(3444만원)로는 38년 동안 임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