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환자 병상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16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병상 가동률은 76.1%다. 수도권 내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총 687개 중 164개만 사용 가능한 상황이다. 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을 중단하는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 발동 기준으로 제시했던 ‘중환자실 가동률 75%’ 기준치를 상회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78.8%(345개 중 272개 사용)로 80%에 육박했고, 인천은 72.2%(79개 중 57개 사용), 경기는 73.8%(263개 중 194개 사용)다. 전국적으로는 61.7% 가동률(1127개 중 695개 사용)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음압격리병동 앞으로 구급차가 지나가는 모습. ⓒ천지일보 2021.11.16](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2/780088_799951_4743.jpg)
수도권 남은 중환자병상 121개
5주간 병상 대기 중 사망 총 29명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병상 배정을 하루 이상 대기하는 환자 수는 1000명을 넘어섰다.
9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전환한 지난 1일 ‘0명’이던 수도권 병상 배정 대기자 수는 날이 갈수록 증가해 이날 0시 기준 1003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4일 이상 대기자가 302명에 달하는 등 코로나19 환자 입원 업무에 걸린 부하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
그 밖에 대기자의 대기일을 구분하면 3일 이상 88명, 2일 이상 124명, 1일 이상 489명이다. 이 중에서 70세 이상은 454명, 이외 나머지 대기자 중에서는 고혈압·당뇨 등 기타 질환자가 대다수다.
최근 5주간(10.31~12.4) 입원을 기다리다 사망한 경우는 총 29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60대 이상은 28명, 기저질환자는 26명이었다. 나머지 3명은 기저질환 유무 등을 조사 중이다. 확진 판정 후 24시간이 지난 후 자택 등에서 사망한 환자는 29명 중 19명이었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환자 병상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16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병상 가동률은 76.1%다. 수도권 내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총 687개 중 164개만 사용 가능한 상황이다. 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을 중단하는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 발동 기준으로 제시했던 ‘중환자실 가동률 75%’ 기준치를 상회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78.8%(345개 중 272개 사용)로 80%에 육박했고, 인천은 72.2%(79개 중 57개 사용), 경기는 73.8%(263개 중 194개 사용)다. 전국적으로는 61.7% 가동률(1127개 중 695개 사용)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음압격리병동의 모습. ⓒ천지일보 2021.11.16](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2/780088_799952_4743.jpg)
수도권에서 집중적인 환자 발생으로 중증병상은 사실상 포화상태에 다다랐다.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85.0%(806개 중 685개 사용)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88.4%(361개 중 319개 사용), 경기 81.1%(366개 중 297개 사용), 인천 87.3%(79개 중 69개 사용)다.
수도권에서 현재 남은 중환자 병상은 서울 42개, 경기 69개, 인천 10개 등 총 121개뿐이다. 중환자를 위한 병상은 입·퇴원 수속과 여유 병상 확보 등의 이유로 100% 가동되기 어렵기 때문에 더 이상 환자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비수도권의 중증병상 가동률 역시 67.7%(449개 중 304개 사용)로 높은 상황이다.
세종·경북에는 중환자 병상이 남아 있지 않고, 대전과 강원에는 확보된 병상 2개만 남은 상태다.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국 71.7%(653개 중 486개 사용)다. 생활치료센터의 경우 수도권 68.2%로 무증상·경증 환자 5426명이 입소할 수 있다. 재택치료 대상자는 계속 늘어 전국적으로 1만 8404명이다.
- 신규확진 7102명, 오미크론 22명 발생… 위중증 857명 최다
- 국내 오미크론 ‘4차 전파’까지… “위중증 없고 모두 경증”
- 정부 “확진자 증가 불가피… 특단 조치 시기 검토”
- “체육관 병상 제안, 부적합… 치명률 급증, 고령층 확진자 증가가 원인”
- 거리두기 체계로 돌아가나… 당국 “매우 엄중한 위기”
- 병상대기 중 사망 속출… 방역상황 ‘아비규환’
- 류훈 서울시 행정2부시장 확진… 서울시청 집단감염으로 24명 확진
- 서울 확진자 오후 6시까지 1169명… 사흘째 동시간 ‘역대 최다’
- 어젯밤 9시 신규확진 5천여명… 오늘 7천~8천명대 역대 최다 예상
- ‘접종자 재택치료 136만원 지원’ 뿔난 시민들 “미접종자 갈라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