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에 수출할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는 모습 ⓒ천지일보DB
부산항에 수출할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는 모습 ⓒ천지일보DB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2.1→2.3%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한국은행이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으로 전환 후 3천~4천명대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는 불확실성에도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4.0%로 유지했다.

이는 수출 호조와 위드 코로나에 따른 소비 회복, 정부의 지원금 등 재정 정책 효과를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원유·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차질, 소비 수요 증가 등을 반영해 각 2.0%, 2.3%로 올려 잡았다.

한은은 25일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올해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를 8월에 제시한 것과 같이 4.0%로 제시했다.

7월 초 이후 5개월간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계속되고 있지만, 위드 코로나로 인해 경제 회복세에는 큰 타격이 없을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 최신 지표들을 보면 10월 신용카드 국내 승인액은 작년 같은 달보다 13.4% 늘어 4월(14.3%) 이후 6개월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백신 접종 확대와 위드 코로나 정책 전환의 효과로 추정된다.

또한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 수출금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7.6% 증가했고, 10월 취업자 수(2774만1천명)도 1년 전보다 65만 2천명 늘었다. 증가 폭도 9월(67만 1천명)에 이어 두 달 연속 60만명을 넘었다.

3.0%였던 내년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도 변동이 없었다. 그러나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는 2.1%에서 0.2%포인트 올라간 2.3%를 예상했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4월 2.3% ▲5월 2.6% ▲6월 2.4% ▲7월 2.6% ▲8월 2.6% ▲9월 2.5%로 6개월 연속 2%대를 웃돌다가 10월에는 3.2%로 3%대를 넘어섰다. 이는 2012년 1월(3.3%)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미래 인플레이션 압력도 크다. 11월 소비자동향조사에서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값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2.7%)’은 10월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 이 오름폭(0.3%p)은 2017년 1월(0.3%p) 이후 4년 10개월 만에 가장 크다. 커진 물가 상승 기대는 생산자의 가격 결정 등에 영향을 미쳐 결국 실제 물가 상승을 이끌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기존 1.5%에서 2.0%로 0.5%포인트 올렸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과일을 고르고 있다. ⓒ천지일보 2021.11.15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과일을 고르고 있다. ⓒ천지일보 2021.11.15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