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재질로 변경된 롯데제과 제품들. (제공: 롯데제과)
종이 재질로 변경된 롯데제과 제품들. (제공: 롯데제과)

30억원 설비 투자 비용에 多실험 통해

카스타드·엄마손파이·칸쵸 등 포장 개선

연간 약 700t 플라스틱 사용 감축 예상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롯데제과가 카스타드 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완충재를 전량 종이 재질로 변경했다고 3일 밝혔다.

롯데제과는 지난 4월 제품에 쓰이는 완충재 등 플라스틱 제거 및 변경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위해 약 30억원의 설비 투자 비용을 지불했다. 이후 약 6개월에 걸쳐 수백 번의 실험을 통해 카스타드와 엄마손파이, 칸쵸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포장 방법을 개발했다.

이번에 종이 재질로 적용된 대용량 카스타드는 2층 구조로 겹쳐 있던 낱봉이 펼쳐져 납작한 1층 구조로 변경돼 각각의 접촉면이 줄어 압력이 분산됐다. 두 줄 형태의 길쭉한 종이 재질의 완충재가 사용됐으며 각각의 칸막이는 없애 낭비를 줄였다.

엄마손파이는 구조 변경 없이 단품과 대용량 모두에 사용되던 플라스틱 완충재는 종이 재질의 완충제로 변경됐다. 대용량 칸쵸는 기존의 외포장(비닐)이 종이 재질으로 변경돼 사용되던 플라스틱 완충재가 아예 제거됐다.

이 외에도 롯데제과는 찰떡아이스와 팥빙수의 플라스틱 용기 중량을 10%가량 줄였으며 칸쵸, 씨리얼 컵 제품의 플라스틱 컵을 종이로 대체하는 작업을 진행해 이르면 이달 중 생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같은 ‘No플라스틱’ 활동을 통해 롯데제과는 연간 약 700t의 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롯데제과는 최근 카카오 부산물을 활용해 만든 친환경 포장재 ‘카카오 판지’의 적용 제품을 일반 가나초콜릿으로 확대했다. 카카오 판지는 롯데제과, 롯데 중앙연구소와 한솔제지가 공동 개발한 종이 포장재로 초콜릿 원료로 사용된 후 버려지는 카카오 열매의 부산물이 분말 형태로 가공돼 재생 펄프와 혼합돼 만들어진 친환경 종이다. 롯데제과는 이번 가나초콜릿 적용으로 연간 280여t의 카카오 판지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하며 추후 다른 카테코리의 제품에도 확대 적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