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각 현재 주요 가상화폐 시황. (코인마켓캡 캡처) ⓒ천지일보 2021.6.1
이 시각 현재 주요 가상화폐 시황. (코인마켓캡 캡처) ⓒ천지일보 2021.6.1

월간 낙폭 2011년 9월 이후 최대

머스크 비트코인 결제 취소 영향

美·中 가상화폐 규제 강화에 하락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지난 5월은 비트코인과 비트코인 투자자들에게는 ‘잔인한 5월’로 기록될 전망이다. 5월 한 달 동안 비트코인은 35% 넘게 폭락했다. 월간 낙폭으로는 2011년 9월 40% 폭락한 이후 최대치다.

비트코인은 1일 오전 9시(한국시간 기준) 글로벌 가상화폐 시황중계 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24시간 전보다 4.59% 상승한 6만 9162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이날 4% 넘게 상승했지만 5월 한 달 동안 35.% 이상 폭락했다. 5월 초 비트코인은 5만 9000달러대에서 거래됐던 점을 고려하면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실이 있었던 것이다.

비트코인이 5월 들어 급락세를 보인 이유는 악재가 잇달았기 때문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비트코인을 이용한 테슬라 차량 결제를 취소한다는 폭탄 발언을 낸 것에 이어, 중국과 미국이 가상화폐 관련 규정을 대폭 강화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12일 머스크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을 이용한 전기차 결제를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그는 “비트코인 채굴에 드는 전기로 화석연료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며 “더 나은 대안을 찾을 때까지 비트코인 결제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또 그는 “우리는 비트코인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1% 이하를 사용하는 다른 암호화폐를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테슬라 보유한 비트코인 판매 시사 댓글에 비트코인의 가격은 흔들거렸다.

비트코인의 악재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중국과 미국이 가상화폐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18일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비트코인은 물론 파생상품도 거래하면 불법”이라고 경고한 데 이어 3일 뒤 류허 부총리도 “비트코인 거래는 물론 채굴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비트코인 채굴과 거래 행위가 금융시스템을 위협했다는 이유다.

그간 중국은 비트코인 거래를 금지한 대신 채굴은 눈 감아줬다. 이번 채굴 금지 조치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어느 때보다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실제 류 부총리의 발표 이후 내몽고 자치구는 관내 비트코인 채굴을 모두 금지한다고 밝혔다.

중국의 강경 대책은 미국 재무부가 1만 달러(약 1100만원) 이상의 가상화폐 거래는 국세청(IRS)에 신고하도록 하겠다고 발표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앞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가상화폐가 금융 안정성을 위협한다며 규제 강화를 시사하는 한편 시장의 관심을 정부가 인정하는 ‘디지털 달러’로 돌리기 위해 올여름부터 디지털 달러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가상화폐가 조세회피 같은 불법 행위에 쓰인다며 과세 대상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재무부는 1만 달러 이상의 가상화폐 거래는 신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같은 시각 가상화폐의 원유격인 이더리움은 전날보다 13.42% 오른 2707.56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더리움 또한 전월 대비 9.58% 하락했다.

머스크의 도지코인은 전일 대비 6.22% 상승했다. 반면 한 달 전보다 15.71% 하락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