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부터 임대·창업까지 기반 구축
현장 실습 중심 단계별 교육체계
임대 연계·패키지 지원 정착 향상
과수·노지·수직농장 기후 대응 실증
자부담 커… 작물·재배기술 다변화
공공·민간 융합 실증·연구단지 구상

[천지일보 전북=김동현 기자] 전북도가 스마트농업을 단순한 기술 보급이 아닌 구조적 전환의 실험장으로 만들고 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청년 교육부터 실습, 임대, 창업까지 이어지는 단계별 정착 모델을 완성했고 실제 창업과 지역 정착으로 연결되는 사례도 늘고 있다.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와 장수 임대형 농장을 중심으로 한 이 체계는 청년 농업인의 진입 문턱을 낮추고 정착 기반을 제공하면서 높은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초기 자본 부담과 임대 기회 부족 등 현실의 벽도 여전히 존재한다.
도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전국 최초로 공공형 수직농장을 실증하고 있으며 과수와 노지 채소로 스마트 기술을 확장하고 새만금 실증 플랫폼 구상도 추진 중이다.
◆스마트농업 진입 관문… 단계별 정착 지원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전국 4대 거점 중 하나로 스마트농업 진입을 위한 핵심 기반이다. 이곳은 청년창업 보육센터, 임대형 스마트팜, 실증단지, 빅데이터 센터 등으로 구성돼 있다.
보육센터에서는 입문 교육과 경영형 실습이 20개월간 진행되며 재배 기술과 복합환경제어 역량을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다. 2018년부터 올해까지 누적 280명이 참여하고 248명이 수료했다. 올해 8기 모집에는 전국에서 268명이 지원하며 5.2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교육 수료자는 임대형 스마트팜 입주와 창업 패키지 사업에 지원할 자격이 부여된다.
도는 총 8개소의 임대형 스마트팜을 운영 중이다. 4개소는 국비, 4개소는 자체 사업이며 장수군에도 8㏊ 규모의 임대 농장을 조성 중이다.
청년창업 스마트팜 패키지 사업은 600평(약 1984㎡)당 4억 4000만원(자부담 30%) 규모로 총 64개소를 지원했다. 64명 중 28명이 타지 출신이며 이 중 26명이 가족 단위로 전북에 정착했다.
유용열 도 스마트농업팀장은 “전통적인 방식의 농업에 대한 거부감이 컸지만 스마트팜 시설은 깨끗한 환경과 자동화로 청년들이 좀 더 쉽게 농업의 문을 두드리는 것 같다”며 “교육부터 창업까지 촘촘하게 지원하고 있어 높은 정착률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습 중심 교육은 ‘도움’… 현실은 ‘막막’
스마트농업의 체계적 교육은 청년 진입을 이끌고 있지만 창업 현실은 쉽지 않다. 정읍에서 스마트팜을 운영 중인 문유란 대표는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청년창업 보육센터 수료 후 스마트팜 패키지 지원을 통해 1500평(약 4959㎡) 규모의 딸기 스마트팜을 조성해 운영하고 있다.
문 대표는 전문 교육을 받고 제어 가능한 환경에서 일정 품질의 농산물 생산이 보장되는 것이 스마트팜의 장점이라고 밝혔다. 다만 창업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자본을 꼽았다.
그는 “토지, 온실, 내부 시설을 포함해 총 13억원 정도 들었다”며 “초기 투자 금액이 예상보다 많이 들어 포기를 고민했고 자본을 끌어오는 게 제일 힘들었다”고 회상했다. 또 패키지 사업 역시 자부담 1억원 이상이 요구되고 토지 확보는 별도로 이뤄지며 대출도 어려워 실질적인 창업 장벽이 높다고 설명했다.
문 대표는 보육센터 수료생 중에도 창업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많다고 했다. 그는 “50명 중 10~20명만 임대농장으로 갈 수 있고 TO가 없으면 10명 이하로 줄어들기도 한다”고 부연했다. 이어 “현재의 3년 임대는 단기 경험에 불과하고 자립 기반을 만들기에는 짧다”며 “임대 공급 확대와 임대 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증 범위 확대… 수직농장부터 노지까지
도는 실증 범위를 수직농장, 과수, 노지로 확장하고 있다. 장수군에서는 전국 최초로 공공형 수직농장을 시범 운영 중이며 청년 6명이 엽채류를 재배하고 있다.
유 팀장은 “장비 보급과 기후 변화 대응 필요성 때문에 수직농장 실증이 시작됐다”며 “현재는 수익성을 검증하는 단계이며 유휴 공공시설 리모델링 방식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과수 분야에선 장수군이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 공모에 선정돼 고온에 강한 품종으로 전환하고 있다.
유 팀장은 “최근 기후 변화로 착색이 안 되고 수확도 늦어지고 있다”며 “품종 갱신과 함께 농기계가 들어갈 수 있도록 ‘다축 평면형’ 수형으로 바꾸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노지 채소 실증도 이뤄지고 있다. 여름철 배추 재배지에 미세 살수장치를 설치해 온도를 낮추고 결구율을 높이는 실험을 진행 중이다.
유 팀장은 “급변하는 기후 속도에 기술이 따라가기는 쉽지 않지만 과수와 노지 모두 스마트농업 기술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만금, 스마트농업 거점으로
도는 새만금을 스마트농업의 핵심 실증 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한 구상도 진행 중이다. 새만금은 토양 특성상 노지 재배가 어렵기 때문에 스마트온실 중심의 농업 육성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유 팀장은 “새만금은 전북대·원광대 등 농업 전문 대학과 농진청·KIST 등 연구기관, 넓은 부지를 모두 갖춘 최적의 실증 거점”이라며 “민간·학계·연구기관이 융합된 실증 생태계를 전북이 선도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고 스마트농업 주도권 확보 의지를 밝혔다.
도는 또 에너지 비용 급등과 작물 다변화를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유 팀장은 “여름이 사실상 5월부터 11월까지 이어지면서 냉방비 부담이 커 기업들을 접촉해 대안을 찾고 있다”고 했다. 또 “기후 변화에 취약하지 않은 작물과 재배법 기술이 과제”라며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전북의 스마트농업은 기술 도입을 넘어 농업 생태계 전환을 위한 전략적 실험에 가깝다. 전국 최초의 단계별 지원 체계와 함께 수직농장·과수·노지까지 영역을 넓힌 실증 모델은 기존 농업의 한계를 정면으로 돌파하려는 시도다. 기후위기와 인구구조 변화, 지역경제 활로가 겹친 지금 전북은 농업의 미래를 가늠할 좌표로 주목받고 있다.
- [1-Minute Cut] Top-tier Infrastructure, Poor Connectivity: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Jeonbuk’s Carbon Industry
- [1분컷] 인프라는 최고, 연결은 최저… 전북 탄소산업의 기회와 위기
- [National InsideㅣJeonbuk–Carbon] Top-Class Infrastructure, Weakest Links… Jeonbuk's Carbon Industry at a Crossroads
- [전국인사이드ㅣ전북–탄소] 인프라는 최고, 연결은 최저… 전북 탄소산업의 기회와 위기
- [1-Minute Cut] “Co-Growth” vs “Political Ambition”… Jeonju-Wanju Merger Conflict
- [1분컷] “함께 성장” vs “정치 야욕”… 전주·완주 통합 갈등
- [Nationwide InsideㅣJeonbuk] “Co-growth” vs “Political Ambition”… Jeonju-Wanju Merger Conflict
- [전국인사이드ㅣ전북] “함께 성장” vs “정치 야욕”… 전주·완주 통합 갈등
- [One-Minute Cut] Jeonbuk aimed for “first-class integrity” but remains at third-class for 3 years, innovation urgently needed
- [1분컷] 전북 ‘청렴도 1등급’ 목표했지만… 3년째 3등급, 혁신 시급
- [National Inside | Jeonbuk – Public Officials Status] Jeonbuk Aims for “Top Integrity Level”… Still at Level 3 for 3 Years, Urgent Need for Reform
- [전국인사이드 | 전북-공무원 실태] 전북 ‘청렴도 1등급’ 목표했지만… 3년째 3등급, 혁신 시급
- [1분컷] “성과는 말뿐”… 김관영호, 공약과 정책 모두 흔들린 3년
- [Nationwide Inside┃Jeonbuk] “Achievements in Words Only”… Three Years of Kim Kwan-young’s Administration Marred by Faltering Promises and Policies
- [전국인사이드┃전북] “성과는 말뿐”… 김관영호, 공약과 정책 모두 흔들린 3년
- [National InsideㅣJeonbuk-Smart Farms] Rethinking the Coordinates of Agriculture… Jeonbuk Builds a ‘Structure for Settlement’
- [1분컷] 농업의 좌표를 다시 묻다… 전북이 만든 ‘정착의 구조’
- [1-Min Brief] Rethinking the Coordinates of Agriculture… Jeonbuk Builds a ‘Structure for Settlement’
- [National InsideㅣJeonbuk–Youth Mall] Jeonbuk’s Youth Mall in Slump… Can a Spark Make It Run Again?
- [전국인사이드ㅣ전북-청년몰] 침체 빠진 전북 청년몰… 다시 뛰게할 불씨 있나
- [1분컷] 침체 빠진 전북 청년몰… 다시 뛰게할 불씨 있나
- [1-Minute Cut] Jeonbuk’s Youth Mall in Slump… Can a Spark Make It Run Aga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