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LS그룹이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전력 인프라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그룹 내 주요 계열사들이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며 미국 내 생산시설 확장과 기술력 강화를 동시에 꾀하는 모습이다.
LS그룹의 지주사 ㈜LS는 올해 초 미국 자회사 에식스솔루션즈의 상장 전 투자 유치(프리IPO)를 직접 주관해 약 295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권선 시장 세계 1위 기업인 에식스솔루션즈는 이번 프리IPO를 통해 기업가치가 약 1조 4700억원으로 평가됐다. LS는 내달 중 상장 주관사를 선정하고 미국 증시 상장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LS전선은 약 1조원을 투입해 미국 동부 버지니아주 체사피크시에 미국 최대 규모의 해저케이블 공장을 건설한다. 39만 6700㎡ 부지에 7만㎡ 규모로 조성되는 이 공장은 올해 4월 착공해 오는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LS전선은 향후 10년간 연평균 3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미국 해저케이블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선제적인 투자를 단행했다.
LS전선의 자회사 가온전선도 미국 내 배전케이블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1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타보로시에 위치한 배전케이블 생산법인 LSCUS의 지분 100%를 확보하며 현지화 전략을 본격 추진했다.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시장을 중심으로 전력망 및 플랜트 분야까지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LS일렉트릭은 배전 솔루션 기술을 앞세워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에 나서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AI) 개발사에 데이터센터용 전력기기를 공급한 데 이어 미국 빅테크 기업 세 곳과도 배전반 납품 협상을 진행 중이다. 배전반은 발전소에서 들어오는 전력을 제어해 최종 사용처로 배분하는 장치로,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다. 특히 LS일렉트릭은 지난해 미국 고압용 차단기 시장에서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한 MV LIS(Load Interrupter Switch) 신제품을 출시하며 현지 입지를 더욱 강화했다.
또한 급증하는 주문에 대응하기 위해 LS일렉트릭은 미국 내 생산능력을 대폭 확대하고 있다. 텍사스주 배스트럽에 4만 6000㎡ 규모의 판매·서비스 시설을 구축했으며, 유타주 시더시티에 위치한 자회사 MCM엔지니어링의 제2공장은 생산능력을 두 배 이상 늘렸다.
LS엠트론의 미국 자회사 LS트랙터도 북미 트랙터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8월 노스캐롤라이나주 배틀보로에 9334㎡ 규모의 부품 창고를 개장해 부품 공급망과 애프터서비스(AS) 경쟁력을 높였다. 특히 북미 지역에서 증가하는 취미 농사꾼(Hobby Farmer)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3월 텍사스주 팔레스타인시에 트랙터 조립 공장을 신설, 2028년까지 연간 2만대 생산 목표를 세웠다.
이와 함께 LS트랙터는 지난해 5월 부품유통센터(PDC)를 이전하며 북미 전역의 부품 가용성과 공급망을 단축함으로써 애프터마켓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 [기업 경영 특집] SK그룹, 본원적 경쟁력 확보로 위기 극복 나선다
- [기업 경영 특집] 두산그룹, SMR·수소로 미래 에너지 산업 선도한다
- [기업 경영 특집] GS그룹, 친환경·디지털 중심 신사업 확장
- [기업 경영 특집] LG그룹, 도전과 변화로 미래 혁신 박차… 차별적 고객가치 창출 가속
- [기업 경영 특집] 현대차그룹, 올해도 미래 모빌리티 ‘퍼스트 무버’ 향해 박차
- [기업 경영 특집] SKT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 가속화한다
- [기업 경영 특집] LG유플러스 “2025년 AI 중심으로 미래 성장 동력 확보”
- [기업 경영 특집] KT ‘AICT Company’로 지속 성장 위해 혁신 강화
- [기업 경영 특집] 삼성전자 ‘홈 AI’ 혁신으로 초개인화 시대 앞당긴다
- [기업 경영 특집] 한화그룹, 글로벌 무대 도약… 방산·조선·우주 혁신 박차
- [기업 경영 특집] 효성그룹, VOC 경영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 명노현 LS 부회장 “LS GPT로 혁신 주도… 스타 플레이어 배출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