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전망치 1.8%→1.7%
내수불황 변수 작용할 듯
물가상승률 전망 1.8% 유지
내년 전망치도 1.8% 그쳐
![[천지일보 부산=정다준 기자] 부산신항만 컨테이너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여있는 모습. ⓒ천지일보 2024.08.29.](https://cdn.newscj.com/news/photo/202501/3219819_3272089_712.jpg)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국제금융센터들이 한국 경제의 유례없는 저성장에 대한 대내외 경고음을 내놓고 있다.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와 탄핵 정국 장기화 등으로 내수 경기가 얼어붙고 환율이 급등하는 등 악순환이 눈앞에 닥쳐오는 가운데 1월 기준금리 인하 여부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7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글로벌 투자은행(IB) 8곳이 전망한 올해 한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평균 1.7%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1월 말 평균치인 1.8%보다 0.1%p 하락한 규모로, 한국은행이 지난해 11월 28일 제시한 전망치(1.9%)를 비롯해, 지난 2일 정부가 제시한 전망치(1.8%)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IB 평균 전망치는 지난해 9월 말 2.1%에서 3분기 수출 감소를 확인한 직후인 10월 말 2.0%로 떨어진 뒤 12월 말까지 석 달 연속 내림세를 기록했다. 지난 한 달 사이 JP모건이 1.7%에서 1.3%로, HSBC가 1.9%에서 1.7%로 각각 전망치를 조정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JP모건의 경우 보고서를 통해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한층 더 짙어진 내수 불황이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비상계엄이 선포됐던 지난달 3일 이후 전국 신용카드 이용 금액이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감소하는 등 민간 소비가 위축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해외 IB 8곳은 올해 한국의 연간 물가상승률이 1.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IB별로 JP모건과 HSBC가 지난해 11월 말 각 1.7%와 1.9%에서 지난달 말 나란히 2.0%로 상향 조정했고, 씨티가 2.0%에서 1.9%로 낮췄다.
해외 IB 8곳은 내년에도 한국이 평균 1.8%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봤다. 구체적으로 골드만삭스와 JP모건이 각 2.1%, HSBC가 1.9%, 노무라가 1.8%, 씨티가 1.6%, 바클리가 1.5%, UBS가 1.3%를 제시했다.
한국 경제가 2년 연속 1%대의 저조한 성장률을 기록하는 것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53년 이후 처음이다.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은 외환위기 당시 1998년 -4.9%에서 이듬해 11.6%로 반등했고,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009년 0.8%에서 이듬해 7.0%로 올랐다. 코로나 팬데믹 당시엔 2020년 -0.7%에서 이듬해 4.6%로 회복됐다.
이에 따라 IB들은 오는 16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 집중하고 있다.
BNP파리바는 최근 보고서에서 “정치 불안, 항공기 사고 등은 소비심리를 추가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한은이 1월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