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바이오 등 첨단산업 투자 급증
日·中 투자 급증… 美·EU는 감소세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지난해 국내 외국인직접투자(FDI)가 345억 7000만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대선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도 반도체와 바이오 등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투자가 대폭 확대되면서 증가세를 견인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FDI 동향’을 발표했다. 지난해 신고 기준 FDI는 5.7% 증가하며 지난 2021년 이후 4년 연속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0년(207억 5000만 달러)에 비해서는 4년 만에 67% 증가했다. 다만 도착 금액은 147억 7000만 달러로 24.2% 감소했다.

업종별로 제조업이 최대 금액인 21.6% 증가한 144억 9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실적 증가를 견인했다. 전기·전자(52억 6000만 달러, 29.4%↑), 기계장비·의료정밀(23억 5000만 달러, 174.0%↑), 의약(7억 1000만 달러, 113.2%↑) 등 업종에서 투자액이 증가했다. 서비스업도 전년 대비 0.3% 증가한 178억 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13억 3000만 달러, 46.5%↑), 바이오(12억 3000만 달러, 254.2%↑) 등 첨단전략산업 투자가 대폭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일본과 중국의 투자가 많이 증가했다. 일본의 투자는 61억 2000만 달러로 375.6%, 중국의 투자는 57억 9000만 달러로 266.1% 증가했다. 반면 미국과 유럽연합(EU)의 투자는 각각 52억 4000만 달러(14.6%↓), 51억 달러(18.1%↓)를 기록했다.
산업부 이와 관련해 “미국, EU의 투자 감소는 전년 대비 역기저효과와 함께 작년 미국과 EU의 리더십 교체 등 정치적 변화에 따른 관망세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공장 등 신·증설을 위한 그린필드 투자는 267억 달러(13.5%↑)를 기록해 전년 대비 증가했다. 그린필드 투자액은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한 수치다. 반면 인수합병(M&A) 투자는 78억 6000만 달러(14.5%↓)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감소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외국인투자가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한 것은 글로벌 투자가들이 최근의 국내 상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경제의 펀더멘탈을 신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올해 양질의 외국인투자 유치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 글로벌 투자가들과 소통 확대, 첨단산업 인센티브 강화,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투자환경 조성 등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