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매매가 하락세 지속
대출 규제·계엄 여파 겹쳐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최근 국내 부동산 시장이 고강도 대출 규제와 집값 급등 피로감으로 위축된 가운데 정치적 혼란까지 겹치며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비상계엄 논란과 탄핵 정국이 부동산 시장에 미칠 장기적 영향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722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3126건)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7월(9206건)에 비하면 약 60% 감소한 수치다. 지난 8월 6490건, 9월 3126건을 기록하며 거래량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지난 11월 거래량도 이날 기준 2256건에 그쳐 이달 말 신고 기한까지 큰 반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가격 측면에서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하락해 3주 연속 내림세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도 강동구를 중심으로 -0.02%를 보이며 올해 3월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로 전환됐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 고금리 장기화에 더해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시장 위축이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에도 정치적 혼란과 함께 부동산 시장이 약세를 보인 바 있다. 당시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2016년 12월 -0.33%, 2017년 1월 -0.31% 하락했고, 서울도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다만 정치적 요인이 항상 부동산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분석도 있다. 지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시기에는 서울 아파트값이 0.39% 상승한 사례도 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정치적 혼란이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장기화될 경우 환율 등 금융시장 불안과 주택 공급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경기와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정책 방향이 변화하거나 건설원가 상승 등 장기적 요소를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전국 아파트 매매가 3주 연속 하락… 서울 상승폭 0.04% 유지
-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 5개월 만에 감소세
- “매수 문의 뚝” 서울 아파트 거래량 급감… 집값 조정 신호?
- 금융당국, 탄핵정국 불확실성에 금융사 릴레이 회의 진행
- ‘계엄 내란’에 원/달러 환율 불안… 더 밀리면 외환위기 가능성도
- 최상목 “비상계엄 사태, 경제에 미친 영향 생각보다 제한적”
- 서울 아파트값 하락 조짐보이나… 정부 통계서 ‘미세한 하락 전환’ 확인
- ‘봄바람’ 부는 서울아파트 시장… 2월 신고 건수, 1월의 77% 도달
- ‘탄핵 불똥’에 부동산 흔들린다… 조기 대선에 초 관망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