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년 착공 목표… 26년부터 대규모 이주 시작
전월세 가격 상승 우려…관내 거주 희망 83.3%
이주대책 구체화·단지별 이주시기 조정 필요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정부가 1기 신도시 정비를 위한 선도지구를 공개했지만, 주민들의 이주를 위한 구체적 대책은 여전히 미비한 상태다. 이에 인근 전월세 시장이 불안정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 등 1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오는 2027년 착공을 목표로 특별정비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2026년 말부터 약 3만 가구의 이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재건축 과정에서 이주단지를 조성하는 대신, 유휴부지를 활용해 주택 공급을 늘려 수요를 흡수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유휴부지를 활용하되, 일반 분양과 민간 사업자의 참여를 통한 주택 공급으로 전월세 시장에서 수요를 흡수할 계획”이라며, 이주를 위한 영구적인 임대공간 운영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계획이 발표된 후에도 주민들의 불안감은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이주대책으로 ▲유휴부지 개발 ▲영구임대 순환정비 ▲이주금융 지원 등을 검토하고 있지만, 이는 구체적으로 실행 방안이 제시되지 않아 실효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상태다. 특히 이주대책이 관내 지역 중심으로 마련되지 않을 경우, 주민들이 원하는 생활권 내에서의 주거 연속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재건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기존 생활권 내에서 임시 거주지를 마련하려는 주민들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1기 신도시 주민의 83.3%가 이주 시 관내 지역에서 거주하길 희망한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월세 물량 부족은 불가피하며,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수도권 신축 아파트 공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주를 위한 선택지가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비아파트 거주를 꺼리는 현 상황에서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전월세 시장의 불안정은 장기화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전문가들은 이주대책을 구체화하는 것 외에도 광역 교통망 개선과 단지별 이주시기 조정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한다. 재건축이 진행될 때 대규모 인구 이동이 한꺼번에 이뤄지면, 교통 혼잡과 생활 불편이 가중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주민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이주시기를 단계적으로 조율하고, 교통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단지별로 이주시기를 조절하지 않으면 지역 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교통 개선 대책과 수도권 외 지역 정비사업을 병행 추진해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전국적인 균형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이슈in] 선도지구 지정에 희비 엇갈린 1기 신도시… 재건축 ‘급행열차’인가 ‘독이 든 성배’인가
- 1기 신도시 재건축 본격화… 분담금과 이주대책 갈등 ‘산적’
- 1기 신도시 재건축 ‘2차 선도지구’ 없다… 정부 “순차적 추진 계획”
- 전세 사라지고 월세 급증… 무주택자 “주거 사다리 막힐라”
- 12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 16.2p 급락… 매수심리 ‘꽁꽁’
- 계엄사태에 흔들리는 1기 신도시 재건축, 주민들 ‘불안초조’
- [이슈in] ‘탄핵 정국’ 속 재건축 불안… 국가 주택 공급 어디로 가나
- 1기 신도시 기반시설 ‘유동화 방식’ 첫 사례 추진… 조기 구축에 박차
